전체 글1552 산더덕 파종 시기와 방법 산더덕을 재배해 보고싶은 이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으면서도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할수 있어 노후 준비로도 그만인 작물이기 때문 이지만 산더덕 재배는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 파종 시기나 방법을 몰라 난감해 하는 이들이 많으나 산더덕은 무분별한 체취로 개체.. 2017. 10. 12. 골짜기 농장에도 가을이 ~` 긴 여름이 가고 골짜기 농장에도 가을이 찾아 왔다. 때가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니 늦장마로도 오는 가을을 막을 순 없나보다. 자연으로 돌아오니 교통 지옥 매연속에서 출퇴근을 반복하던 회색 도시와는 달리 문만 열면 새소리에 철따라 청정 먹리들을 아름으로 내어주니 언제나 풍요로.. 2017. 10. 11. 초보 농부와 훈숫꾼 시골에 정착하면 가장 먼저 격게 되는 고충 중 하나가 주위의 훈수들이다. 선의로 하는 이야기들 이지만 외면 하자니 서먹해지고 듣다보면 끝이 없기 때문이다. 농촌에서 수십년을 산 사람들이니 직간접 체험들이 있을 순 있지만 지금껏 준비한 것과는 동떨어진 이야기들이니 초보 농부.. 2017. 10. 10. 슈퍼 도라지 전망 봄가뭄에 애를 태운지가 어저께 같은데 한해 농사가 마무리 되간다. 그간 2년에 걸쳐 슈퍼 도라지를 시험 재배하며 느꼈던 점들을 정리해 본다. 최근 보급이 시작된 슈퍼 도라지는 약성이 뛰어나면서도 성장이 빨라 전문 경매사들 마져 당분간은 이를 능가할 작물이 나오기 힘들거라 이.. 2017. 10. 5. 산약초 농장 만드는 3.3.3 법칙 버려진 골짜기를 활용해 산약초를 재배하려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크고작은 시행착오들을 격기도 했었지만 그간 체험한 바들을 정리해 본다.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총 예산의 30%는 반드시 씨앗값으로 사전 책정해 둬야 한다. 작물은 미래의 소득원으로 수천평의 밭에 1~2리터의 씨.. 2017. 10. 3. 능이 재배 전망 능이는 밤기온이 서늘해 지는 9~10월 참나무가 자생하는 북향이나 북동, 북서 능선에서 주로 나오며 군락을 이뤄 한곳에서 10여키로 이상 따기도 하는 독특한 버섯이다. 담자균류, 민주름 버섯목, 굴뚝 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자루는 지름 4센티, 길이 8센티 내외이며 갓지름이 20센티 이.. 2017. 9. 30. 토종의 가치 ~ 2 ` 토종 종자들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지도 10여년이 다되간다. 골짜기를 선택하니 거친 풀을 이겨낼수 있는 생명력이 강한 종자들이 필요했기 때문 이기도 했지만 산을 가꿔보면 누구나 토종의 우수성에 감탄하게 된다. 첨단 시대에 왼 토종 타령이냐고들 웃지만 사라져 가는 종자 번식은 .. 2017. 9. 28. 내가 임야를 선택 한 이유 ... 귀농 귀촌을 위해 헐값의 전답을 찾아 수년씩 허비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그간 체험한 바에 의하면 싸고 좋은 땅은 어디에도 없으며 10년이 걸려도 차비만 날리기 십상인 일이다. 수년 전 5백평의 전답값으로 버려진 골짜기 3만평을 선택 했다. 골짜기에서 재배할 수 있는 청정 먹.. 2017. 9. 27. 산약초 재재에 도전 하고자 한다면 산약초 재배에 도전하지만 대부분에 사람들이 어려움을 격는것 같다. 초기 같은 시행착오를 반복 하기도 했었지만 산의 특성을 외면하거나 반드시 지켜야할 몇가지를 간과한 때문이다. 산은 초기 성장은 늦어도 씨가 퍼지기 시작하면 어린 싹들이 뒤따라 굵어져 매년 캐내도 끝이없는 .. 2017. 9. 27. 골짜기 농장에 가을 ~` 밤기온이 떨어지자 골짜기 농장에도 가을이 깊어지기 시작 한다. 긴 장마가 계속됬음에도 때가 되면 찾아오니 자연의 시계는 늘 변함이 없어 좋다. 임산물들을 가꾸려 한다니 벌목부터 해야 한다며 야단들 이었지만 그늘속에서도 잘 자라는 생명력이 강한 토종들을 선택해 떨어지는 .. 2017. 9. 24. 직거래처 확보 방법 5백여평의 전답값으로 3만여평의 버려진 골짜기를 선택해 토종 임산물들의 씨를 뿌려 골짜기에 맞겨두는 베짱이 영농일기를 공개하지 하루에도 수명씩 농장 견학을 요청해 오며 판로에 대한 질문들을 한다. 농약을 치지 않으면 상품성이 떨어져 인건비 건지기도 슆지 않더라며 고통.. 2017. 9. 21. 능이가 뭐길래.. 능이버섯 재배법을 공개하지 하루에도 수없이 문의가 빗발친다. 감사에 댓글 한번 달거나 더덕 한뿌리 팔아준적 없으면서도 회원이란 이유로 욱박 지르듯 마지막 퍼즐 한조각은 왜 공개하지 않냐며 항의하는 사람들도 많다. 수십키로를 구매할듯 달콤한 말로 꼬들기는 사람도 있으며 추.. 2017. 9. 19. 슈퍼도라지 씨앗 채종시기와 방법 9월로 접어드니 슈퍼도라지 농사도 마무리 되간다. 씨앗 채종만 마치면 봄까지 긴 휴식 이지만 영농은 늘 날씨가 문제다. 모든 농사가 비슷하지만 씨앗 채종은 시기 선택이 중요하다. 서두르면 발아 율이 떨어지고 시기를 놓쳐 씨방이 벌어지면 빈껍질 뿐이나 가을비가 잦으면 적기 채취.. 2017. 9. 18. 버섯 산행 ~` 산약초들도 둘러볼겸 종자 채종을 위해 모처럼 새벽길을 나선다. 골짜기에 올라보니 가는곳 마다 버섯 천지다. 골이 깊은 강원도 고지대인 까닦도 있지만 늦장마가 길었던 때문인것 같다. 골짜기는 늘 내어 주기만 하는 어머니같은 곳으로 새순이 올라오는 봄의 산도 싱그럽지만 가을은 .. 2017. 9. 17. 9월의 산더덕 가을로 접어드니 골짜기 산더덕들도 겨울 준비가 한창이다. 베짱이 영농일기를 공개 하자 산더덕 파종 시기와 방법에 대한 질문들을 자주 받는다. 풀속에서도 잘 자라 바쁠 일이 없고 굵어질수록 값이 뛰며 시간이 지날수록 소득 또한 증가하니 노후 준비로도 그만인 작물이기 때문인 것.. 2017. 9. 15. 능이 재배 요령 가을로 접어 들자 종균을 심어 둔 곳마다 능이들이 나오기 시작 한다. 능이 재배 과정을 공개하자 문의들이 쇠도 하지만 능이 재배는 그리 고급 기술을 요하는 일은 아니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도전 했지만 답을 찾지 못한 듯 하나 키는 의외로 가까운 곳에 있었으며 핵심만 알면 누구나 .. 2017. 9. 12. 골짜기 농장의 9월 ~ ` 9월로 접어드니 골짜기마다 겨울 준비로 분주 하지만 늘 풀과의 전쟁을 치러야 하는 논밭과는 달리 알아서들 자라니 어설픈 농부는 베짱이가 따로 없다. 다람쥐 채바퀴 돌듯 매연속에서 출퇴근을 반복하던 회색 도시에서의 지난날들과는 달리 문만 열면 풀벌레 소리에 골짜기마다 풍성.. 2017. 9. 10. 능이버섯 재배 법 밤 기온이 서늘해 지자 올해도 어김없이 종균을 뿌려 둔곳에서 능이버섯들이 얼굴을 내밀기 시작 한다. 1능 2표 3송이라하여 버섯 중 최고로 친다는 능이는 지금껏 재배가 않되는 것으로들 알고 있으나 반드시 그런것만도 아닌 것 같다. 몇년 전 버섯 산행을 나섰다가 철지난 능이밭을 발.. 2017. 9. 7.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