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에좋은산야초127

산약초별 출하시기 예측 방법 동해안을 따라 산불이 대단한 모양이다.환경 오염 때문인지 강추위와 폭설에 난리를 치룬지가 10여일도 안됬는데 기온이 올라 온산이 불바다라니 도대체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하는지 종잡을 수가없다.​산약초 수확 시기를 어찌알고 미리 예약 받냐고들 뭍지만 윤달까지 있어 달력은 매년 다르나 자연의 시계는 언제나 정확해 그 지역 생강꽃이 피는 시기를 지켜본 후 각종 봄나물들의 출하 시기를 가늠하는 것이 산사람들의 일상이다.​초보 농부에게는 생소한 이야기지만 해마다 생강꽃이 피고 이십일이면 두릅 수확이 시작되고 다시 일주일이면 곰취와 산당귀가 고개를 내밀어 이에 맞춰 날짜를 잡으면 차질없이 배송이 가능했다.가장 먼저 피는 봄 꽃으로 윤달이나 늦취위 등으로 매년 차는 있지만 이꽃 피는 날을 지켜본 후 타 산약초들의 .. 2025. 3. 27.
명이 파종 시기와 방법 산마늘은 명이나물 이라고도 하며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것으로들 알고 있지만 전국 산야외 밭,하우스 등 어디서도 잘 자라는대표적 봄나물 중 하나이다.​산마늘을 장점은 수효층이 넓으며 한번 심어두면 2~3년이면 수화이 시작되수년에 걸쳐 지속적 소득이 기능하고 봄 몇일 채취로 끝나는 기타의 산나물류와는 달리 수확 기간이 길다는 점이었다.​농장조성 방법으로는 종근을 심기도 하나 씨를 뿌리는 것이 비용도 적게들고빠르고 간편했지만 산더덕 등과는 달리 스스로 풀을 이겨내지 못해 일이 많다는것이 단점이었다.  3년근 명이나물~`장아찌 수효가 많아 재고 걱정할 일이 없는 대표적 봄나물로 초기 성장은 늦지만 한번 수확이 시작되면 수년에 걸춰 지속적 잎 채취가 가능했다.  발아가 잘되는 작물이어 인건비가 많이들고 값도 비싼 .. 2025. 3. 25.
차가버섯 효능및 보관법 농장 8부 능선에 자작나무 자생지가 있다.어디서 씨가 날라 왔는지 산짐승 끙아에 뭍어 왔는지는 모르겠나 딱 고 골에만 한무더기가 자생중이다.​산약초들을 재배하다 보니 골에 오르거나 농장을 돌아봐도 땅만 보고 다닐 뿐 하늘을 볼 일이 거의 없어 지금껏 몰랐으나 지난 가을 우연히 위를 보니 시커먼 혹덩이 같은게 누더기 처럼 달려있다.​요상해 다가가 보니 저거이 분명 산꾼들도 보기 힘들다는 차가버섯이분명인데 값도 제법 나가던데 꼭대기에 붙어있어 그림에 떡일 뿐 어찌 해볼 방법이 읍네 ~~ㅠㅠ 평수기 수만임에도 딱 요곳에만 자작나무들이당구장에 깡패시키들 마냥 몰려있다.요거이 왼 횡재 ~아무리 봐도 저거이 함암이나 혈압 등에 그만이라는차가버섯이 분명인데 크기가 축구공이니수십년은 됬을 듯 싶다. ~~ㅋㅋ 억지로 올.. 2025. 2. 28.
겨울철 산약초 줄기 구별법 서해 중부 외딴섬 산약초 채종을 다녀왔다. 산에 농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풀과 잡목들을 이겨낼 수 있는 강한 종자들이 필요하며 개체수가 줄며 근친 교배로 약화된 야성을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체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약초 채종을 자주 다니는 사람이나 전문 산꾼들에게는 익숙한 모습이지만산약초 씨앗이나 종근들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계절별 모습들을 눈여겨 봐 둘 필요가 있다.​채종에는 풀이나 뱀, 벌 등이 없는 늦겨울이 좋지만 이때는 잎이나 줄기가 변색되 전혀 다른 모습을 띄고 있어 초보자들로써는 구분이어려워 그냥 지나치기 싶상이기 때문이다.산더덕 ~`더덕은 담쟁이나 마 종류와는 달리 줄기가 하얀 특징을 지녀전문 산꾼들은 잎이 떨어진 한겨울에도 한눈에 알아 보지만 초보들은 줄기를 따라가 뿌리를 캐보는 것이.. 2025. 2. 25.
참취 효능및 재배법 산나물하면 가장 먼저 또오르는 것이 참취이다.국화과 여러해살이 산약초로 취나물 중 맛이 가장 뛰어나며 남부에서 강원도 고지대까지 분포 또한 넓기 때문이다.​무침 요리에 주로 사용되지만 숙취 해소와 시력보호, 간기능 회복 효능이 있어 차로도 수효가 많으며 배수가 잘되는 밭에서도 재배하지만 고품질을 생산 하기에는 그늘이 적당한 산이 적지였으며​추위에 강하고 거친땅에서도 잘 자라지만 채취 시기가 봄 몇일에 불과한 것이 단점이었으며 포기 나눔을 하기도 하나 9~10월 씨를 채취해 뿌리는 것이 비용도 적게들며 빠르고 손쉬웠다. 가장 널리 알려진 산나물로 향이 좋아 무침요리에 주로 쓰이지만 말려 두면 년중 사용도 가능해 재고 걱정은 없는 편이나수확 기간이 짧아 소득원으로는 어려움이 있었다. 9월초면 흰색 또는 연본.. 2025. 2. 16.
느릅나무(유근피) 효능및 자생지 느릅나무는 유근피라 불리기도 하며 산지계곡 등에 자생하는 활엽수로 생김이나 잎이 느티나무와 매우 흡사해 초보자는 착각하기 쉬우나 수피가 다르며 두텁고 억세다.​부스럼이나 종기, 염증에 특효를 보여고 위장 질환이나 비염 등 호흡기 계통에도 효과가 좋으며 차로 장복 하거나 뿌리나 껍질을 벗겨 물에 담가 목욕을 하면 피부가 몰라보게 부드러워진다. ​껍질외 잎을 말려 분말로 만들어 다양한 요리에도 쓰이며 흉년이 들면 보릿고개에 양식을 대신했던 구황 식물이기도 하다. 맛이 달고 독성은 없으나 몸이 찬 사람들은 과다 복용은 금하는게 좋다.​번식 방법으로는 가을 씨를 채취해 한두달 냉동 보관 후 뿌리면 발아되나 굵은 나무 아래 발아 된 어린 묘목을 옯겨 심어도 잘 자라 집 주위에 한그루만 심어둬도 유용히 쓰인다.지난.. 2025. 2. 9.
마가목 효능및 자생지 고지대 깊은 산에 자생하는 마가목은 5~6월 흰꽃과 가을의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수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으나 다양한 약효를 지녀 한방에서 귀히 쓰이는 약재이기도 하다.​붉은 열매는 관절염에 특효를 보이고 수피는 신장을 보호하며 뿌리에도항산화 성분이 다량 들어있어 술을 담거나 차로 장복하면노화방지와 면역력 증진에도 그만이다.​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고 혈관을 튼튼히 하는 기능도 뛰어난 것으로 밝혀진만병 통치약재이기도 하나 장이 약한 사람은 과다 복용 시 구토나 설사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깊은 산에가면 아름드리로 자란 거목도 눈에 띄지만 다양한 약효를 지녀 마가목을 기둥으로 쓴 집에는 의원 드나들일이 없다는 소중한 자원이기도 하다.  양기 보충이나 관절을 보호하는 효능이 뛰어나 가을 붉게 여문 열매를 .. 2025. 2. 2.
오가피 재배법 산에 다녀보면 잎이 산삼과 똑같아 깜짝 놀라지만 캐보면 뿌리가 달라 실망 하기도 하나 이는 바로 오가피로 약리 성분이 산삼에 버금가그리 낙심할 필요는 없다.​전국 산야에 분포하며 면역력 강화와 활력증진,혈액 순환개선 등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며 최근 항암 치료에도 탁월한 것으로 밝혀진만병 통치의 귀한 약재이기도 하다​잎이나 줄기, 뿌리, 껍질 등 버릴것이 없으며 은은한 불로 달여 차로 장복하면 고질적 관절염에도 그만이나 혈압을 낮추는 효능이 있어 저혈압 환자는 과다 복용은 피하는게 좋다.전국 산야에 널리 분포하지만 잎과 줄기외 껍질과 뿌리, 씨까지 어느하나 버릴것이 없는 모든 한약에 들어갈 많큼 쓰임이 많은 귀한 약재이다.  가을 검게 익은 씨앗을 채취해 말려 두면 파종외 약재로도년중 사용이 가능하며 성장.. 2025. 1. 31.
바위솔( 와송) 효능및 재배법 와송은 바위솔이라고도하며 주로 그늘진 바위틈이나 산악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배수만 잘되면 밭이나 하우스 등에서도 잘 자라는 다년생 작물이다.  수술 후 염증 완화나 해독작용, 항산화 비타만과 철분,마그네슘 등이 풍부해면역력 증진과 피부 건강에도 효과가 좋으며 최근 항암에도 뛰어난 것으로 밝혀진 산약초 이기도하다  향이 은은해 차로도 즐기나 즙으로 마시는 것이 효과가 좋으며 포기 나눔을 하기도 하나 씨를 뿌리는 것이 손쉬우며 임산부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과다 섭취는 금하는게 좋다.기와 지붕에서 자란다하여 와송이고도 불리는 바위솔은 번식력이 뛰아난 다년생 약초로 피부미용이나 염증완화,면역력 증진 효능이 뛰어나 집 주위에 몇뿌리만 심어둬도 유용히 쓰인다.** 산약초들로 밭을 이룬 골짜기 농장.. 2025. 1. 25.
명이나물 파종시기와 방법 산마늘은 명이나물이라고도 하며 장아찌 등으로 수효가 많으며 울릉도가( 다습란 고시대 ) 주산지로 알려져 있으나 전국 어디에서도 잘 라는 산나물이다.​판로도 좋고 산짐승 피해도 심한 편은 아니나 풀을 이겨내지 못해 풀을 메주지 않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도테 되손이많이 가는 단점이 있었다.​파종 방법으로는 포기 나눔하여 종근을 심기도 하나 발아가 잘 되는 작물이어 ( 암실에 20여일 이상 냉동보관 춘화처리 후)씨로 파종하는 것이 빠르고 손쉬웠다.명이나물이라고도 불리는 산마늘은 다년생 작물로 파종 3년여가 지나면 수확이 시작되며 봄 잎은 수확해 장아찌로 주로 쓰이는 산나물 중 하나이다. 골짜기외 밭이나 하우스 등에서도 잘 자랐으나 풀을 이겨내지 못해 풀을 메주지 않는 지연 농법으로는 어려움이 있었다. 발아 후 .. 2025. 1. 22.
산부추 효능과 재배법 산부추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전국 산야에 분포하며 한여름 힌꽃이 피는 일반 부추와는 달리 가을 보라색 꽃이 피며 독특한 향외 매운맛을 지녀 약재외 다양한 요리에도 쓰이는 고급 식재료이다. ​소화기 질환과 염증 완화에 효과가 크며 면역력 강화나 피로 회복에도 좋지만 노약자 양기 보충에도 탁월하다. 약재로는 탕이나 분말및환을 만들어 주로 쓰인다.​보라색의 꽃은 관상용으로 그만이지만 뿌리에 들어있는 물질은 가려움증 해소및 해충 방제, 살충 효과가 크며 포기 나눔을 하지만 밭에서 대량 재배할 때는 씨를 뿌리는 것이 손쉽다.   산부추는 일반 부추보다 맵고 향도 강해 약용외 다양한 요리의 풍미를 더하는데도 그만이며 번식력도 뛰어나 몇뿌리만 심어둬도 주위로 퍼지며 밭을 이뤄 자투리땅 활용에도 제격이.. 2025. 1. 13.
벌나무 효능 벌나무는 호랑 가시나무, 산청목, 조릿대 나무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중부 이북 산야에 자생하는 다년생 나무로 간기능 보호나염증 완화 등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진 약재이다. 최근들어 술독 해소및 피로 회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차로도 인기가 있으나 기타의 산약초들과는 달리독성이 크고 부작용도 많다. 특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갑자기 호흡 곤란 등이 올 수 있으며당료나 혈압약 등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는외 복통 사례도 많아장복은 금하는게 좋다.간기능 보호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벌나무는 10여미터까지도자라며 기타의 나무들과는 달리 줄기가 푸른 특징이 있다.번식 방법은 씨가 주로 쓰인다.뿌리를 사용하기도 하나 잎이나 잔가지를 잘라 말려약재나 차로도 사용하지만 부작용 사례도 많아 부득한외 신중한 접근이.. 2025. 1. 9.
삽주 효능과 재배법 삽주는 백출이라고도 불리며 습을 제거하고 몸의 균형을 유지하대표적인 산약초로 전국 산야에 자생하며 약재로 쓸때는줄기보단 말린 뿌리를 주로 사용한다. 키는 60여 센티 가량 자라며 잎은 길쭉, 끝은 뽀족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가을에 흰색의 꽃이 핀다. 맛을 쓰고 강한 향을 지녔으며기를 보하거나 면역력 증진에 주로 쓰인다. 볕이 좋고 배수가 잘 되는 곳을 좋아하며 봄에 파종하면 가을에도 수확 하나건조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차로도 그만이지만과다 섭취하면 소화장애나 속쓰림 등이 올 수 있다. 야생 삽주 ~`밭에서도 잘 자라지만 볕이 좋고 배수가 잘되는 곳을 좋아하며가을에 하얀 꽃이 핀다. 뿌리를 옮겨 심기도 하나 씨로파종하는 것이 빠르고 간편하다. 삽주 뿌리 ~`차로 복용하면 기력 보강에도 그만이나 줄기.. 2025. 1. 5.
운지버섯 효능 운지는 북향의 골짜기 죽은 나무에서 기생하는 오랜 역사를 가진 약재 중 하나로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면역력 증강이나 노화 방지에 뛰어난 효능을 지닌 다년생 버섯이다.​중국 고서에는 이를 장복 후 신선이 되었다는 문헌들이 많으며 일반인도 수년이면 구름 위도 걸을 수 있을 많큼 몸이 가겨워 진다는 한의서들도 셀수없이 많다.​항암 효과와 심혈관 계통에도 탁월하며 피로 회복에도 그만임이 밝혀지며 다양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으며 향이 은은해 차로도 그만이지만 임산부나 수유중일때는 주위가 필요하다.고사목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 운지는 말리면 수년도 보관이 가능하피부를 맑게하고 기력보강이나 노화 방지에도 그만인귀한 버섯이다.** 산약초들로 밭을 이룬 골짜기 농장 ~`임야는 수백년 동안 농약 한방울 준적없는 전망밝은 청정.. 2025. 1. 1.
구기자 효능 구기자는 중부 이남에서만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들 알고 있으나 기후 변화로 기온이 상승한 요즘은 강원도 일대에서도잘 자란다. 만병 통치약의 묘약이라 불리기도 하는 이 붉고 작은 열매는 체내 노폐물 제거와 해독 작용이 강해 간과 신장 보호에 탁월할 뿐만 아니라피로 회복및 시력 보호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말려 차로 장복하면 혈압이나 당료에도 효과가 크지만 과다 섭취하면 소화불량이 올 수 있으며 자투리 땅이나 울타리 등에 한두 그루만 심어둬도쓰임새가 많으며 번식 방법으로는 씨나 뿌리외꺾꽃이를 해도 잘 자란다. 무병장수의 묘약이라 불리기도 하는 구기자는 처음엔 파랗지만 익으며 붉은 색으로 변하며 요즘은 기후가따뜻해져 강원도 일대에서도 잘 자란다. 개나리와 같이 줄기를 뻣으며 여름부터 늦가을까지 열매 채취가 기능하.. 2024. 12. 18.
방풍나물 재배법 방풍 나물은 풍을 예방한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갯기름 나물이라 불리기도 하며예전에는 약재로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나물로들 즐겨 먹으며원방풍 갯방풍 식방풍 등이 있다. 해풍이 불어오는 바닷가에 주로 자생하지만 어디서도 잘 자라며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해 면역력 증가나 피로회복에 좋으며 피를 맑게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도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비빔밥 등 여러 요리에 사용되나 고소하고 아삭해 쎌러드나 무침나물로 주로 사용되는 웰빙 식품으로 번식력이 뛰어나 집 주위에 한두 뿌리만 심어둬도 사철 즐길 수 있으며 자투리땅 활용에도 그만이다.바닷가 모래 언덕 등에 주로 자생 하지만 어디서도 잘 자라는다년생 작물로 건강을 챙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자투리땅 활용한 소득원으로도 그만이다.  맛은 고소.. 2024. 12. 9.
말굽 버섯 효능 말굽버섯은 말 발굽을 닮았다고 하여 말 발굽 버섯이라 불리기도 하며한냉지역 고산대인 강원도 일대에 주로 자생하는다년생 버섯이다.​참나무나 자각나무, 고사한 활엽수 등에 주로 발생하며 각종 염증에 특별한 효과를 보이며 항암 효능이 있어 각종 암환자및 허약체질 개선에도좋은 것으로 알려있다. ​혈관을 튼튼히 하는 작용이 강해 고혈압, 당료 등 성인병에도 좋아 담금주를 하기도 하나 껍질이 단단해 잘게 썰어 30분이상 끓여 차로 주로 복용하며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어 과다 복용은 금하는게 좋다. 일년에 나이테 하나가 자란다고도 알려져 있으나 발생 초기그 이상 자라기도 하며 한나무에서 여러개가 동시에 나오기도 한다.  강원도 고산지대 등에는 지름이 한뼘 이상인 것들도 발견되지만 껍질이 단단해 작두로 잘게 썰어 .. 2024. 12. 6.
꽃송이 버섯 채취 시기 꽃송이 버섯은 전국에 걸쳐 분포하며 여름에서 가을사이 그늘지혈 침엽수그루터기나 활엽수림의 고사목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큰것은 축구공 이상도 자란다. 베타 그루칸과 항산화 물질이 다량 들어있어 형당과 콜레스테롤 수치를낮춰주며  면역력 강화및 항암에도 좋지만 향이 좋아복음이나 찌개외 말려 차로도 그만이다. 독성은 없으나 민감한 체질이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기침 구토증상이나 과다 복용시 복통을 유발할 수 있어 수유중일때나임산부는 복용을 금하는게 좋다.  여름에서 가을사이 음지의 죽은 나무 그루터기에서 주로 발생하며복음 요리나 찌개외 말려 사철 보관도 가능하며향이 좋아 차로도 그만이다. 항암및 면역력 증진에 그만으로 알려진 꽃송이 버섯은멀리서 보면 말벌집과도 비슷한 둥근 모양으로크기는 축구공 이상도 자란다.*.. 2024.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