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을 따라 산불이 대단한 모양이다.
환경 오염 때문인지 강추위와 폭설에 난리를 치룬지가 10여일도 안됬는데
기온이 올라 온산이 불바다라니 도대체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하는지 종잡을 수가없다.
산약초 수확 시기를 어찌알고 미리 예약 받냐고들 뭍지만 윤달까지 있어 달력은
매년 다르나 자연의 시계는 언제나 정확해 그 지역 생강꽃이 피는 시기를
지켜본 후 각종 봄나물들의 출하 시기를 가늠하는 것이
산사람들의 일상이다.
초보 농부에게는 생소한 이야기지만 해마다 생강꽃이 피고 이십일이면 두릅
수확이 시작되고 다시 일주일이면 곰취와 산당귀가 고개를 내밀어
이에 맞춰 날짜를 잡으면 차질없이
배송이 가능했다.

가장 먼저 피는 봄 꽃으로 윤달이나 늦취위 등으로 매년 차는 있지만
이꽃 피는 날을 지켜본 후 타 산약초들의 출하 시기를 예측하면
틀림없어 자연의 시계로 통하는 생강꽃이다.

어느 지역이든 매년 생강꽃이 피고 보름여가 지나면
진달래가 피고 진달래 핀 후 10여일이면
두릅 출하가 시작된다.

남쪽지방 출하를 살피는 것도 방법이다.
강원도에서 남해까지는 20여일 차가 나며 어디해든 두릅 출하를
마칠 즈음이면 곰취와 산당귀가 나오고 뒤이어
산더덕 순이 돋기 시작한다.

** 산약초들로 밭을 이룬 골짜기 농장 ~`
5백여평의 전답값으로 3만여평의 골짜기를 선택한다니 모두들 웃었지만 산은
수백년 동안 농약 한방울 준적없는 청정지역으로 헐값의 골짜기에
씨만 뿌려둬도 알아서들 자라는 고소득 산약초들도 셀수없이
많아 노후 준비로도 산만한 곳이 없었다 **
* 씨앗 필요하신 분이나 임야에 농장 만드는법, 임야 구입 지원금 신청 방법, 산림청
무료지원 작물, 좀도독 방지나 친환경 울타리 만드는 법, 등은 올려 둔
공지글 참조 하세요.
'몸에좋은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이 파종 시기와 방법 (0) | 2025.03.25 |
---|---|
차가버섯 효능및 보관법 (1) | 2025.02.28 |
겨울철 산약초 줄기 구별법 (0) | 2025.02.25 |
참취 효능및 재배법 (0) | 2025.02.16 |
느릅나무(유근피) 효능및 자생지 (2)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