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표고버섯66

표고 재배와 화고 생산 표고들이 쏫아져 나오기 시작한다.표고는 늦가을 참나무나 밤나무 등을 잘라 말려 이른봄 종균을주입해 두면 가을이면 나오기 시작한다. 자연에 맞겨 둬도 진달래가 필 즈음이면 얼굴들을 내밀기 시작하며한번 만들어 두면 4~5년에 걸쳐 수확해 바쁠일 없이도고정 수입이 가능한 작물이기도 하다. 표고의 장점은 넓은 면적이 필요없다는 점이다.골짜기나 자투리땅등 약간의 공간만으로도 충분하며 표고목 등도필요한 많큼씩을 사도 그만이어 큰 돈도 필요없다. 고품질의 화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하우스를 지아야 한다고들 했지만자연 상태에서도 (비가 올 경우 비닐을 덮으면 그만이었음)얼마든지 고품질 생산이 가능했다.표고는 진달래가 필 즈음이면 나오기 시작하며 봄 가을에만나오는 것으로들 알고 있지만 고온성과 저온성 종균을 함께 써보니년.. 2025. 4. 10.
좋은표고 고르는 법 표고는 참나무를 잘라 재배하는 참나무 표고와 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톱밥에 영양제를 섞어 만든 배지를 활용해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배지 표고 등이 있다. ​참나무를 활용해 재배하는 표고는 배지표고와는 비교가 않될 많큼 맛과 향이 월등 하며 좋이컵 만한 표고를 상품으로들 알지만 표고는 다자라 갓이 활짝 펴진 표고가 좋은 표고이다.​성장 과정에서 햇볕을 받으며 비타민 D가 풍부해져 깊은 맛이 더해지기 때문으로 다자란 표고를 삼겹살과 함께 구우면 그 고소함이 말로는 표현 불가인 별미이다.  표고는 어떤 요리에 넣어도 풍미를 더해주는 천연조미료로자연에 맏겨 생산하는 참나무 표고는 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것과는비교할 수 없이 맛이 뛰어나다.  송이 등과 같이 갓이 펴지 않은 표고가 좋은 것으로들 알지만다라란 표고일수록.. 2025. 3. 30.
참나무 표고 재배 - 다수확 요령 표고는 참나무나 밤나무 기타 활엽수 등에 한번만 종균을 주입해 두면4~5년에 걸쳐 수확해 용돈 벌이외 고정 수입원이나 직거래처확보 등에도 제격이지만 다수확을 위해서는 몇가지요령도 필요했다. 다량 수확을 위한 첫째는 고른 종균 번식이었다.벗꽃 필 즈음 종균을 주입하면 다음해부터 나오는 것으로들 알고 있지만이른 봄 주입해보니 당해 가을부터 나오기 시작했으며 두세달에 한번뒤집기를 반복해 주니 종균이 골고루 퍼져많은양이 나왔다.  둘째는 물이었다.대부분에 사람들이 봄 가을 나오는 것으로들 알고 있지만 수확 후에표고목을 한달 가량 바짝 말린 다음 3~4일 물을 흠뻑 줘보니다시 나와 반복 수확도 가능했다. 셋째는 충격이었다.물을 듬뿍 준 후 표고목을 쓰러뜨렸다 세우니( 헤머로 두드려도마찮가지로 잠자던 종균들이 깨어.. 2025. 3. 12.
표고 재배를 해보고 싶다면 표고목 만들 시기가 다되 간다.표고는 늦가을 잘라 말려 둔 참나무나 밤나무 등에 종균만 주입해 두면 별도 투자나 손볼일 없이도 4~5년에 걸쳐 수확해 고정 수입원으로도그만인 품목이다. 특별한 기술이 필요없으며 자투리 땅에서도 가능하고 소득 발생도 빨라 몇가지만 유의하면 초보자도 얼마든지 할수있으며 직거래처 확보나 고객 관리등에도 더없이 유용한 작물이었다.  노지 재배도 가능해 별도의 시설 없이도 고품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말려두면 사철 쓸수있어 재고 걱정이 없는 것 또한 강점이었다.참나무 하나당 20여 키로가 나왔고(나무 무개 만큼 )1키로 4만여 원에 거래됬다. 늦기을 참나무를 잘라( 말려 둔 참나무나 종균 드릴 등은 산림조합 등에서도구매 가능함) 겨우내 말려 종균을 주입해 두면 땡으로 벗꽃 필 즈음만.. 2025. 2. 26.
별미 중 별미 표고 장아찌 표고는 가을 참나무를 잘라 겨울동안 말려 이른 봄 종균을 주입해 두면가을부터 나오며 한번 나오기 시자하면 4~5녀에 걸쳐 지속적 수확이 가능해 고정 수입원 확보에도 그만인 작물이다.  넓은 공간이나 특별한 기술이 필요없고 농약이나 풀멜일 없이도 용돈 벌이로도쏠쏠할 뿐 아니라 모든 요리에 쓰여 집주위에 몇개만 만들어 둬도 거래처 괸리 등에도 유용히 쓰인다.  톱밥에 영양제를 뭉쳐 만든 배지를 활용해 하우스에서 재배 하기도 하나 고품질을얻기에는 참나무를 활용한 노지 재배가 좋았으며 말려두면 몇년도 보관이 가능해 재고걱정이 없어 좋았다. 특별한 기술이 필요없어 누구나 만들 수 있으며 참나무나 종균 구멍을 꿇는 전용 드릴( 소량일 경우 일반 드릴 등도 관계 없음) 등은 산림 조합 등에 문의하면 안내및 구매도 가.. 2025. 1. 19.
표고재배 시 유의 사항 표고는 한번 만들어 두면 바쁠일 없이도 4~5년에 걸쳐 수확하며 좁은 면적에서도 가능하고 다양한 요리들에 쓰여 고정 수입원 확보에도 제격인 작물이다.​톱밥에 영양제를 뭉쳐 만든 배지를 활용해 하우스에서 재배 하기도 하나 적은 비용으로 고품질을 얻기에는 참나무를 잘라 노지 재배하는 방법이지만 이때는 몇가지 주의도 필요했다.​골짜기는 골바람과 산안개 등이 풍부해 고품질 생산에 최고의 장소 이지만산은 죽은 참나무에 알을 낳아 번식하는 털두꺼비 하늘소들의 놀이터와도 같은 곳이기 때문이다.​표고목은 한번 만들어 두면 4~5년간 사용하지만 털두꺼비 하늘소들이 침입해 그 애벌레들이 목질부와 표피 사이를 갉아먹으면2~3년도 못되 폐목이 되고 만다. 이른봄 참나무에 종균을 주입해 두면 균사가 퍼지며 가을부터 표고들나오기.. 2024. 12. 26.
표고 다수확 요령 고정 수입원이 없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표고목은 한번 만들어 두면 바쁠일 없이도 수년에 걸쳐 수확해용돈 마련이나 사철 수입원 확보, 고객 관리 등에더없이 유용한 작물이었다. 표고 재배를 위해서는 하우스 등이 필요한 것으로들 알지만노지나 자투리 땅 등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했으며 대부분 봄이나 가을에만나노는 것으로들 알고 있으나 관리 여부에 따라사철 수확도 가능했다. 년중 생산을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고온성과 저온성 종균을 함께 쓰는 것이지만그외 품질이 뛰어난 저온성 만으로도 비닐이나 물관리 등을적절히 하면 얼마든지 가능했다.늦가을 참나무를 잘라 ( 밤나무 등도 관계는 없음) 겨울 동안 말려이른 봄 종균을( 산림조합 등에서 판매함) 주입해 두면가을이면 나오기 시작한다.표고 재배를 위해서는 하우.. 2024. 12. 16.
표교버섯 재배법 표고버섯은 늦가을 참나무를 잘라 종균을 주입해 두면 별도 투자나 바쁠일 없이도4~5년에 걸쳐 수확해 용돈벌이나 고정 수입원 확보에도제격인 효자 종목이다. 표고 중에서도 백화고는 최고 품질의 버섯으로 몇배 높은 가격에 판매되며봄 몇일 나오는 것으로들 알고 있으나 방법을 익히면 초보자도언제든 생산이 가능하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건조하게 관리하며 필요할 때마다 4~5일 가량 물을 주는방법으로 (물을 주고나면 이삼일이면 나오기 시작함) 이를 반복해 보니( 겨울은 비닐로 보온 ) 년중 생산도 가능했다.밤나무 등도 가능하지만 참나무가 맛과 향이 좋았으며 늦가을 잘라 겨우내 말려( 단면에 실금이 갈 정도로 ) 이른 봄 종균을 주입해 두면당해 가을이면 나오기 시작한다.( 전용 드릴이나 종균 등은 산림조합에서도 판매 .. 2024. 10. 17.
표고 재배와 다수확 방법 시골은 죽도록 일해도 밥굶기 싶상인 곳이라고들 하지만 반드시 그런것만도 아니었으며 바쁠일 없이도 년중 고정 수입이 가능한 베짱이과 작물들도 얼마든지 있었다. 표고도 그런 작물 중 하나였다.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도 않으며 농약, 비료도 필요없고 풀멜 일도 없었지만 쉼없이 내어주는 요술 방망이가 따로없었다. 참나무나 밤나무 등을 활용해 한번 만들어만 두면 수년에 걸쳐 수확하며 모든 요리에 사용할 많큼 수효도 넘쳐 판로 걱정이 없어 고정 수입원으로도 제격이었다. 낙엽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10월 참나무나 밤나무, 버드나무 등을 잘라 단면에 실금이 가도록 겨우내 말려 두면 끝으로 넓은 공간이나 시설도 필요치 않아 자투리땅 활용에도 그만이었다. 일년이 지나야 나오는 것으로들 알지만 이른 봄 종균을 주입해 둬보니 당.. 2024. 4. 14.
표고 재배 방법 고정 수입원이 없어 고민이라면 표고를 재배해 보면 어떠지 싶다. 투자비가 적고 좁은 면적에서도 가능하며 한번만 만들어 두면 수년에 걸쳐 수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고의 가장 큰 장점은 농기계나 농약, 비료 등이 필요없다는 점이었다. 한여름 땡볕 아래에서 풀을 메거나 농약을 치기란 보통일이 아니나 표고는 소득이 쏠쏠 하면서도 바쁠일이 없어 좋았다. 톱밥을 뭉쳐 만든 배지를 이용해 하우스에서 재배하기도 하나 참나무 등을 활용해 노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비용을 적게 들이면서도 고소득을 올리는 요령이었다. 늦가을 참나무 등을 120여 센티 내외로 잘라 볕에 말려 두면 되며 밤나무 등 기타의 나무도 관계는 없으나 한뼘 정도 굵기가 무난했다. ( 짧으면 세우기가 어렵고 길거나 굵으면 무거워 작업이 불편함 ) 이른 .. 2023. 12. 24.
표고 재배 요령 표고 재배에 도전해 보고 싶은 이들이 있는 것 같다. 한번만 만들어 두면 4~5년에 걸쳐 수확해 고정 수입원으로도 제격이며 덤으로 줘도 싫어 하는 사람이 없어 고객 관리에도 제격이기 때문 같다. 톱밥 등을 뭉쳐 만든 배지를 사용해 하우스에서 재배 하기도 하나 원목을 써야 맛과 향이 월등한 고품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넓은 공간이 필요치 않아 버려 둔 자투리 땅 활용에도 제격이었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표고목을 만들어 두면 2년차부터 봄이나 가을에만 나오는 것으로들 알고 있으나 관리 여하에 따라 당해 가을부터 사철 수확도 가능했다. 참나무만을 써야 한다고 했지만 밤나무나 버드나무, 느티나무 등등 집 주위의 잡목들을 잘라 종균을( 산림 조합 등에서 판매함 ) 넣어 둬도 잘 나왔다. 지름 20여 센티 가량의 참나.. 2023. 11. 24.
꿈에 농장 봄표고 안내 기온이 오르자 골짜기마다 표고들이 나오기 시작 한다. 혹독한 겨울 추위를 이겨내며 때가 되면 어김없이 얼굴들을 내미니 참 기특한 녀석들이다. 골바람과 산 이슬을 먹으며 참나무에서 나오는 봄 표고는 톱밥을 뭉쳐만든 배지를 이용해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마트 표고와는 식감이나 .. 2017. 4. 21.
산이슬을 먹고 자란 표고 ~` 9월로 접어들며 밤 기온이 떨어지자 드디어 표고들이 얼굴을 내밀기 시작 한다. 늦더위가 심해 추석이 지나야만 나오려나 했으나 골짜기에 올라 보니 정상쪽은 이미 눈들이 터 수확 시기가 다되 간다. 골짜기에서 살아 보니 어떤 첨단 시계보다도 절기가 정확 하니 참 신기 하단 생각이 .. 2016. 9. 4.
골짜기 농장에도 표고가 ~ ` 농장을 돌아 보니 드디어 골짜기에도 봄이 찾아 왔다. 지난 주 까지도 겨울잠에 빠져 있던 표고목에서도 표고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 한다. 볕이 잘 드는 양짖녘 쪽으론 그 사이 눈들이 터 제법 탐스런 자태를 갖추기 시작 하니 게으른 농부의 태만으로도 오는 봄을 막을 순 없는 일인.. 2016. 3. 28.
귀농 작물 선택 요령 ~ 2 ` 귀농에 최적인 터를 마련하고도 경제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빠른 안정의 결정적 열쇠가 작물 선택에 있음에도 이를 소홀히 했기 때문이지만 작물 선택시에는 반드시 몇가지를 유의해야 낭패보지 않는다. 귀농에는 지속적 소득원이 되 줄 장기적 작물이 있어야 하지.. 2016. 1. 9.
가을 표고 정기 쎄일 ~` 숲가꾸기로 베어 낸 참나무를 활용해 골짜기에 표고목을 만들어 둔다니 모두들 바보라고 웃었지만 밤 기온이 떨어지자 표고들이 쏫아져 나오기 시작 한다. 표고는 산에 임산물을 뿌려 수확이 발생할때 까지의 3~4년의 공백을 매워 줄 중기 작물로도 그만인 품목이다. 한번 만들어 두.. 2015. 10. 23.
별미 중 별미 표고 장아찌 ~` 가을이 깊어지자 골짜기에 만들어 둔 표고목에서 고품질에 표고들이 쏫아져 나오기 시작 한다. 표고는 비타민 D가 풍부해 모든 요리에 사용 되는 식재료 이지만 참나무에 축적된 에너지를 먹고 나오는 가을 표고는 특히 향과 식감이 뛰어나 미식가들이 즐겨 찾는다. 햇볕에 말려 분말.. 2015. 10. 14.
가을 표고 ~` 가을로 접어드니 골짜기 마다 표고들이 쏫아져 나온다. 맛이 좋고 향도 뛰어나지만 표고 발생시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대부분 회피하는 저온성을 택해 정성을 다했음에도 신통치 않아 실패한 것으로 생각 했으나 야들도 주인 마음을 아나 보다. 표고를 재배 하고자 한다면 하우스를 .. 2015.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