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은 돈으로 농장 만드는 법41 내가 임야를 선택 한 이유 ... 귀농 귀촌을 위해 헐값의 전답을 찾아 수년씩 허비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그간 체험한 바에 의하면 싸고 좋은 땅은 어디에도 없으며 10년이 걸려도 차비만 날리기 십상인 일이다. 수년 전 5백평의 전답값으로 버려진 골짜기 3만평을 선택 했다. 골짜기에서 재배할 수 있는 청정 먹.. 2017. 9. 27.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 한다면 ~2 ` 산의 가치가 밝혀지기 시작하며 산약초를 가꾸려는 귀농인들이 늘고 있는것 같다. 값이 싸고 일이 적으면서도 소득 또한 높기 때문 이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전답과는 또 다른 접근이 필요한 것 같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장소를 마련하면 길을 포장하고 전기 수도에 울타리를 치기 .. 2017. 9. 3. 강소농을 원한다면 ~` 귀농은 죽도록 고생해도 밥굶기 싶상인 일이라고들 하지만 적은 돈으로 강한 농장을 만드는 것도 불가능한 일만은 아닌 것 같다. 빠른 안정을 위해서는 어떤 작물을 선택하든 한가지 품목으로 승부 하는것이 유리하다. 가짓수가 많으면 비용이 증가하고 기술 개발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 2017. 8. 8. 귀농 장소를 찾는 중 이라면 ~` 귀농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장소 선택을 두고 고민하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정보가 부족하고 방법을 모르니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막막하기 때문이다. 장소를 마련 하고자 한다면 전답을 선택할 것인지 임야를 구입할 것인지 부터 먼저 결정해야 한다. 지목에 따라 .. 2017. 7. 24.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 한다면 ~` 임야에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귀농인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오염되지 않은 청정 지역이면서도 값이 싸고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할 수 있기 때문 이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몇가지를 유의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가장 주의해야 할점은 산짐승이다. 산은 각종 야생동물들의 놀.. 2017. 7. 6. 실패하지 않는 귀농 ~ 4 ` 베이비 부머 세대들의 퇴직 시기가 겹치며 귀농을 구상중인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시골은 맑은 공기에 늘 풀벌레 소리를 들을수 있는 곳이기도 하지만 빠른 안정을 위해서는 작물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가장 유의할점은 어떤 품목을 선택 하든 단일 품목으로 승부해야 한다.. 2017. 6. 13. 5월 말 골짜기 농장 ~` 푸르름이 더해가는 계절 이지만 봄 가뭄이 계속 된다. 아직 5월임에도 30도를 오르내리는 이상 기후가 반복 되니 늘 맑은 물이 흐르던 계곡마져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시골 구석까지 환경 피괴의 영향을 받으니 안타깝기도 하지만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활용하는 농장을 구상한 것은.. 2017. 5. 29. 골짜기 농장에도 봄이 ~` 드디어 골짜기 농장에도 완연한 봄이 찾아 왔다. 기온이 오르자 겨우내 움츠렸던 골짜기들이 기지게를 펴며 제모습을 드러 내기 시작 한다. 풀 한번 깎아준적 없고 농약 한번 친적 없지만 아무리 혹한이 닦쳐도 때가 되면 어김없이 모습들을 드러내니 참 신통하고 이쁜 녀석들이다. 늘 이.. 2017. 4. 18.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9 ` 빠른 안정을 이루는 요령 ~` 대부분에 퇴직자들이 영롱한 아침 이슬과 산새 소리들을 생각하며 시골로 내려 오지만 영농은 죽도록 일해도 밥굶기 싶상이라며 2~3년도 못되 후회 하기 시작한다. 의욕이 앞서 온갖 것들을 심어 가짓수가 많으니 일은 끝이 없고 판로마져 여의치 않으니 통장 .. 2017. 4. 10.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7 ` 일시에 다량을 뿌려야 하는 이유 ~` 적은 투자로도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곳이 임야임이 밝혀지며 산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전답과는 또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한 것 같다. 산짐승이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풀과 잡목들을 이겨낼 수 있는 생명력이 강한 토종.. 2017. 3. 28.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3 ` 장소 선택 요령 ~` 바쁠일이 없으면서도 고수익이 가능한 곳이 임야라고들 하지만 산에 각종 산약초들을 재배해 보니 생각치 못했던 문제들도 한두가지가 아니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완만한 곳만을 찾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기에는 골이 많은 산이 적지인 것 같다. 작물이 자라기 위해.. 2017. 3. 13. 임야에 농장 만들기 ~ 19 ` 골짜기의 제왕 캅이 ~` 골짜기에 농장을 만드니 늘 산짐승들이 문제다. 처음부터 예상 못한 바는 아니나 별의 별 방법을 다 써봐도 효과는 몇일을 넘기지 못한다. 이곳이 생활터전 이었던 산짐승들 입장에서야 적반 하장도 유분수라 불만 이겠지만 남아 나는게 없으니 보통 머리가 아픈게.. 2017. 2. 26. 임야에 농장 만들기 ~ 18 ` 골짜기를 뒤덮기 시작 하는 작물들 ~` ~ 여름으로 접어들자 뿌려 둔 작물들이 골짜기를 뒤덮으며 수년에 걸쳐 구상했던 꿈에 농장이 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 한다. 골짜기 마다 발아 된 산더덕들로 발디딜 틈이 없고 하루가 다르게 자라는 곰취와 산당귀들 사이로 굵어진 산삼과 도라지.. 2017. 2. 23. 숲 가꾸기와 씨뿌리기 ~` 귀농 귀촌을 위해 산을 선택하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값도 싸며 논밭과는 비교할수 없는 가치를 지닌 곳이기 때문 이지만 산에 씨앗을 뿌릴때는 유의해야 할 몇가지가 있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볕이 잘 들도록 나무를 베거나 잡목들을 정리한 후 씨를 뿌려야 하는 것으로들 알고 있.. 2017. 1. 10. 전원 주택을 짓고자 한다면 .. 자연으로 돌아 가려는 대부분에 사람들이 통유리의 넓은 거실에 벽난로와 손주방까지 겸비한 그림같은 전원 주택을 구상 하지만 이는 매우 신중해야 할 일이다. 시골은 한여름을 제외하고는 늘 난방이 필요한 곳으로 시멘트 투성이인 도시와는 달라 두배를 들여도 절반 밖엔 효과가 없.. 2017. 1. 7. 11월의 골짜기 농장 ~ ` 11월로 접어들자 골짜기에도 고요가 찾아 왔다.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 하니 모두들 동면에 들었기 때문이다. 전방에서 군생활을 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사실 이지만 강원도는 눈이 많은 고지대인 까닦에 새벽 기온이 영하 20도 이하로 떨어지는 것은 보통 일이다. 눈이 내리기 시작하.. 2016. 11. 27. 골짜기 농장에도 겨울이 .. 새벽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 하더니 눈이 내린다. 첫눈 이라기엔 폭설에 가깝다. 이 눈을 시작으로 4~5개월 동안 긴 겨울잠에 빠지지만 이곳 사람들은 첫눈이 소담스럽게 내릴수록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눈이 오면 거지도 빨래를 한다는 훈숫꾼 할아부지 말대로 날씨가 푸근해 다행이긴 .. 2016. 11. 26. 10월의 산당귀 ~ ` 토종 종자들에 관심을 갖기 시작 한지도 10여년이 다되간다. 대부분 토종은 쓸모 없는 것이라고들 하지만 산을 가꿔보면 누구나 토종의 장점에 감탄하게 된다. 농약과 비료를 쉼없이 쳐도 얼마 버티지 못하고 도태되는 개량종과는 달리 풀과 잡목속에 팽게쳐 둬도 거뜬히 이겨 내며 몇년.. 2016. 10. 3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