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당귀 재배법17 임야 활용 유망 작물 4 - 산당귀 버려진 골짜기를 활용해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바쁠일이 없으면서도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에 걸쳐 수확하기 때문이지만 작물 선택에는 주의도 필요하다. 산은 전답과는 달리 산짐승들에게는 안방과 같은 곳이며 거친 잡목들도 많아 산짐승.. 2020. 3. 13. 산약초 농장 만드는 요령 < 일시에 다량을 뿌려야 하는 이유 >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바쁠 일이 없으면서도 소득 또한 쏠쏠하기 때문 이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고자 할 때는 일시에 다량을 뿌려야만 하는 이유들이 있다. 산은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에 걸쳐 수확하며 아무리 수입산이 몰려와도 무한 경.. 2019. 12. 30. 느타리 버섯 재배법~` 멸종 되 가는 종자 복원에 매진해 온지도 십수년이 흘렀다. 골짜기마다 산약초들로 발디딜 틈이 없지만 알아서들 자라 바쁠 일이 없으니 노후 준비로도 산만한 곳이 없는 것 같다. 아침 저녘 찬바람이 불어 지난 봄 골마다 지천인 산밤나무들을 잘라 심심풀이 삼아 만들어 뒀던 곳을 돌아.. 2019. 11. 4. 9월 초 골짜기 농장 때아닌 여름 가뭄에 폭염까지 계속되며 타들어 가던 골짜기 였지만 늦장마가 지나자 산약초마다 꽃대 올리기가 한창으로 벌 나비까지 모여드니 별천지가 따로 없다. 혼자서 수만평을 관리해도 바쁠 일이 없고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 할 수 있는 곳이 산 이기도 하지만 산은 자연 의.. 2018. 9. 12. 골짜기 농장에도 가을이 ~` 긴 여름이 가고 골짜기 농장에도 가을이 찾아 왔다. 때가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니 늦장마로도 오는 가을을 막을 순 없나보다. 자연으로 돌아오니 교통 지옥 매연속에서 출퇴근을 반복하던 회색 도시와는 달리 문만 열면 새소리에 철따라 청정 먹리들을 아름으로 내어주니 언제나 풍요로.. 2017. 10. 11. 산약초 재재에 도전 하고자 한다면 산약초 재배에 도전하지만 대부분에 사람들이 어려움을 격는것 같다. 초기 같은 시행착오를 반복 하기도 했었지만 산의 특성을 외면하거나 반드시 지켜야할 몇가지를 간과한 때문이다. 산은 초기 성장은 늦어도 씨가 퍼지기 시작하면 어린 싹들이 뒤따라 굵어져 매년 캐내도 끝이없는 .. 2017. 9. 27. 곰취가 좋은 이유 ~ ` 헐값의 임야를 선택해 산약초들을 재배 하려는 귀농인들이 늘고 있는것 같다. 산나물의 제왕이라 불리기도 하는 곰취는 맛과 향이 뛰어나 가꿔만 두면 없어 못파는 작물이기도 하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몇가지를 유념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수확 기간이 긴 작.. 2017. 8. 15. 임야를 선택 하고자 한다면 ~ 15 ` 임야를 선택해 각종 임산물들을 재배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작물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날수록 소득이 증가하는 산더덕등과는 달리 산나물류는 소득 발생이 빠른 장점은 있지만 단점도 함께 지닌 작물들이기 때문이다. 가장 주의.. 2017. 6. 5. 골짜기를 둘러 보며 ..` 뿌려 둔 산더덕과 두릅, 음나무들을 살펴보려 골짜기를 한바퀴 돌아보니 온 산이 산나물 천지다. 봄비가 오고 나자 하루가 다르게 자란다. 돌틈과 그루터기 사이론 뿌려 둔 산삼들도 보이고 골짜기엔 야생 씨앗을 채취해 번식중인 멸종 위기의 토종들도 저마다의 모습으로 자태들을 뽐낸.. 2017. 4. 30.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7 ` 일시에 다량을 뿌려야 하는 이유 ~` 적은 투자로도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곳이 임야임이 밝혀지며 산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전답과는 또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한 것 같다. 산짐승이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풀과 잡목들을 이겨낼 수 있는 생명력이 강한 토종.. 2017. 3. 28.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4 ` 골짜기 물골 활용법 ~ ` 산을 선택해 임산물을 가꾸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거친 산을 알뜰히 활용 하기 위해서는 작물 조합이 중요한 것 같다. 산은 평수가 넓어도 경사진 곳이나 골짜기,물골등을 빼고 나면 실제 쓸수 있는 면적은 얼마 않된다고들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닌 것.. 2017. 3. 14. 10월의 산당귀 ~ ` 토종 종자들에 관심을 갖기 시작 한지도 10여년이 다되간다. 대부분 토종은 쓸모 없는 것이라고들 하지만 산을 가꿔보면 누구나 토종의 장점에 감탄하게 된다. 농약과 비료를 쉼없이 쳐도 얼마 버티지 못하고 도태되는 개량종과는 달리 풀과 잡목속에 팽게쳐 둬도 거뜬히 이겨 내며 몇년.. 2016. 10. 31. 작물 선택 시 유의사항 ~ 2 ` 자연으로 돌아가려 하나 주소득 작물로 무엇으로 선택 할지를 두고 고민하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확실한 소득원이 없다면 경제적 고통을 면할 길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작물 선택시엔 몇가지를 유의해야 실패 하지 않다. 첫째, 갑자기 뜨는 작물은 .피하는 것이 좋다. 언제 시들.. 2016. 8. 10. 8월의 산당귀 ~ ` 8월로 접어들며 장마가 그치자 골짜기의 산당귀들이 물만난 고기처럼 활기들이 넘친다. 골마다 발디딜 틈이 없지만 바쁠일이 없으며 씨방이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는 굵어진 개체들 사이로 봄 발아된 어린 싹들도 고유의 자태들을 드러내며 달콤한 향들을 내뿜기 시작 하니 귀농은 반드.. 2016. 8. 9. 골짜기 농장의 6 월 ~` 6월로 접어들자 새가족이 된 어린싹들이 숨바꼭질이라도 하듯 이곳 저곳에서 각자의 모습들로 자리들을 잡아가기 시작 한다. 헐값의 골짜기를 선택해 토종 임산물들을 가꿔보려 한다니 모두들 안되는 일이라며 바보라 웃었지만 풀속에 팽게쳐 둬도 알아서들 자라니 바쁠 일이 없어 좋다.. 2016. 6. 15. 산더덕 농장 만드는 요령~ ` 그간 체험들을 공개 하자 산더덕 농장을 만들려는 견학자들이 자주 온다. 투자비가 적으면서도 한번만 뿌려 두면 수십년간 수확할수 있기 때문이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 때는 반드시 몇가지를 주의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첫째 뿌리는 시기이다. 건습에 따라 조절이 필요 하지만 늦가을에.. 2016. 5. 6. 임야 활용법 ~"산당귀" 임야를 활용해 정착하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풀속에서도 잘 자라는 토종 먹거리들도 셀수 없이 많아 일이 적으면서도 같은값 전답에 수십배 수익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 같다.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인위적으로 가꾸려 하기 보단 자연의 섭리에 맞춰 작물의 습생에 따라 씨를 뿌려.. 2016. 3.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