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48

밭을 이룬 두릅 임야에 농장을 만들 때는 작물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전답과는 달리 잡목이나 산짐승이 많고 경사가 심해 작물 선택을 잘못하면 인건비만 수천만원씩 발생하기 때문이다. 두릅은 수익이 쏠쏠 하면서도 거친 골짜기 풀 속에서도 잘 자라고 씨를 뿌리거나 뿌리를 심어도 그만이어 타작물.. 2018. 4. 23.
산약초 발아 순서 기온이 오르기 시작하자 지난 가을 뿌렸던 제 2 농장에도 혹독한 추위를 이겨낸 산약초들이 하나 둘씩 얼굴들을 내밀기 시작 한다. 한 번 뿌려 두면 그 씨가 퍼지며 어린 싹들이 뒤 따라 나니 늘 이맘때면 보게 되는 일들 이지만 언제 봐도 새롭고 신선하다. 봄을 알리는 생강 꽃이 피고 나.. 2018. 4. 20.
종균이 퍼지기 시작 하는 표고목 가을부터 시작했던 제 2농장 조성이 끝나 간다. 낮 기온이 오르기 시작 하자 이른 봄 손을 녹이면서 만들었던 표고목에서도 종균들이 퍼지기 시작 한다. 표고는 그 지역 벗꽃 필 즈음 만들어 두면 다음해 가을 부터 나오는 것으로들 알고 있지만 2월 조기 접종해 비닐로 보온을 해 두면 고.. 2018. 4. 16.
두릅, 음나무 농장 만드는 법 조성 중인 제 2농장 두릅 식재도 끝나 간다. 두릅이나 음나무는 생명력이 강해 거친 골짜기 풀속에서도 잘 자라며 사철 언제 심어도 활착 되는 작물이다. 묘목을 심어야 하는 다른 나무와는 달리 씨를 뿌리거나 뿌리를 잘라 심어도 되니 타작물에 1/10 비용이면 충분 하면서도 번식력이 뛰.. 2018. 4. 12.
봄인지 겨울인지 .. 4월임에도 때아닌 폭설이 내렸다. 강원도 산골에선 흔한 일이긴 하나 오후들어 내리기 시작한 비가 밤 기온이 떨어지며 눈으로 뒤바뀌더니 온 골짜기가 눈천지다. 슈퍼 도라지는 다년생 작물이어 일찍 심어 더크는 것도 아니며 혹여 모를 한파에 대비해 4월 초에 파종해 아직 발아되지 않.. 2018. 4. 10.
산약초 농장 만들기 ~ 15 ` 제 2 농장 씨 뿌리기를 마치며 가을 부터 씨 뿌리기를 시작한 제 2 농장 조성이 끝나 간다. 6월 장마 전까지 뿌려도 관계는 없으나 다른 일들도 많아 서둘러 마쳤다, 골짜기는 헐값에 불과 하지만 활용 여하에 따라 같은 값 전답에 수십배 소득도 가능하며 뿌려만 두면 수확 외 특별히 할 일.. 2018. 4. 7.
2018 슈퍼 도라지 파종을 마치며 슈퍼 도라지 파종을 마쳤다. 슈퍼 도라지는 약성이 뛰어 나면서도 성장이 빠른 신품종으로 4월 파종하면 다음해 가을 수확하는 고소득 작물이다. 다년생 작물이어 일찍 심어 빨리 크는것도 아니며 파종이 빠르면 도라지 보다 풀이 먼저날 수 있어 적기 파종이 좋으나 제 2농장 조성에 일.. 2018. 4. 5.
골짜기 농장에도 봄이 ~` 수십년만의 강추위가 계속 됬지만 입춘이 지나니 언제 그랬냐는 듯 골짜기의 얼음들이 녹으며 양짖녁 바위 주변부터 생강꽃들이 얼굴을 내밀기 시작 한다. 몇번을 다시 생각해도 농촌의 미래는 산에 있는 것 같다. 풀속에 씨만 뿌려 둬도 잘 자라는 토종 산약초들도 얼마든지 있으며 우.. 2018. 3. 27.
실패 하지 않는 귀농 ~ 5 ` 빠른 안정은 모든 귀농인들에 바램 이기도 하지만 영농은 재배만이 능사가 아니며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몇가지 사전 준비들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단기 소득원의 확보이다. 소득 발생이 늦어지면 안정감을 잃게 되고 고생은 불보듯 뻔한 일이어 장기적 작물 외 .. 2018. 3. 23.
산약초 파종 법 ~ 2 ` 영농 일기를 공개하자 산약초 파종법에 대한 질문들을 자주 받는다. 산약초는 바쁠 일 없이도 고소득이 가능한 작물들 이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 때는 반드시 몇가지를 유의 해야 한다. 첫째는 작물 선택이다. 산은 경사가 심하고 거친 잡목이 많아 스스로 풀을 이겨낼 수 있는 토종 종.. 2018. 3. 21.
적은 돈으로 넓은 농장을 만들고자 한다면 ~ 3 ` 넓은 농장을 갖는 것은 모든 귀농인들의 바램 이지만 조금만 방법을 달리 하면 적은 돈으로 넓은 농장을 만드는 것도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니다. 맹지로 눈을 돌려 보는 것도 방법이다. 남의 땅이 막고 있다면 길이 있는 땅의 절반 이하에도 못미치지만 이런 땅들은 활용 여하에 따라 노.. 2018. 3. 15.
퇴직 후를 고민 중 이라면 - 골짜기는 헐값에 불과 하지만 풀 속에 씨만 뿌려 둬도 시간이 지날수록 값이 뛰는 산약초들도 얼마든지 있어 - 이러저런 글에 답글들을 달다 보면 어느새 한밤중이다. 감사에 댓글도 있고 악플을 달거나 딴지를 일삼는 이들도 있다. 살다보면 여러 일들을 격게 되지만 우리 주변에는 뜻.. 2018. 3. 12.
산약초 농장 만들기 ~ 14 ` 포트 작업 조성중인 제 2농장에 식재할 곰취와 산당귀 포트 작업을 마쳤다. 장기 소득 작물로 산더덕과 도라지씨들을 뿌려 뒀고 두릅과 음나무 뿌리를 심었으며 소득 발생이 빠른 곰취와 산당귀 씨앗 외 표고목을 만들어 뒀다. 토종 산더덕이나 도라지등은 생명력이 강해 뿌려만 두면 알.. 2018. 3. 8.
직거래처 확보 방법 ~ 4 ` 직거래만 할수 있다면 영농은 땅짚고 헤엄치기 라고들 하지만 소비자와의 직거래는 몇가지 사전 준비만 동반되면 그리 어려울 것은 없는 일이다. 첫째는 무농약등 청정 먹거리로 방향을 잡는 것이 유리하다. 소비자의 선택이 건강을 챙기려는 쪽으로 선회하고 있기 때문으로 인터넷을 .. 2018. 3. 2.
산약초 농장 만들기 ~ 13 ` 중기 소득원 만들기 ~` 늦가을 시작 했던 제 2농장 조성도 끝나 간다. 쌓였던 눈들이 녹기 시작 하니 잘라 두었던 참나무들에 표고 종균 접종을 마무리 하려 한다. 표고는 늦가을 참나무를 베 겨울 동안 말려 벗꽃 필 즈음 종균을 주입해 두면 다음해 가을부터 나오는 것로들 알고 있으나 .. 2018. 3. 2.
실패 하지 않는 귀농 ~ 4 ` 영농은 생산에서 판매까지 스스로 결정 하는 일이니 즐거움도 크지만 빠른 안정은 십중 팔구 판로에서 결정 된다. 출하가가 소비자가에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현 유통 구조 하에서는 농사는 중간 상인만 배 불리는 일이라고들 하지만 소비자와의 직거래는 블로그등만 적절히 활용 해.. 2018. 2. 26.
산약초 농장 만들기 ~ 12 ` 씨앗을 섞어 뿌려야 하는 이유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장단기 작물들을 함께 섞어 밀생해 뿌려 두는 것이 시행착오를 줄이는 요령이다. 가장 큰 이유는 구획을 나누면 관리가 힘들기 때문이다. 산은 경사가 심해 이곳저곳 산재해 뿌려 두면 이동 거리가 많아져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며 수.. 2018. 2. 21.
토종의 가치 ~ 3 ` 자연으로 돌아 가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땅은 땀 흘린 많큼 내어주는 정직한 곳 이지만 작물 선택 시에는 미래의 가치에 촛점들을 맞춰 보면 어떨지 싶다. 농사는 풀과의 전쟁 이라고들 하지만 풀보다 무서운 것이 농약이다. 일년에 한 두번 치기도 숨이 막히는 농약을 심고 뽑.. 2018.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