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17

엉겅퀴 봄이 깊어지니 농장 이곳 저곳에 숨어있던 나물들이 제 모습을 드러낸다. 엉겅퀴는 초여름에 자주색 꽃이 피는 다년초이다. 어린 잎을 채취해 생즙을 먹거나 겉절이,김치등을 담그면 쌉쌀한 맛이 일품이다. 엉겅퀴의 삶은물은 실리마린이란 성분이 믾고 간질환과 황달,담낭에 효과가.. 2013. 6. 6.
이름 모를 들꽃들~ 농장을 돌아보니 골짜기 마다 이름모를 들꽃들이 저마다의 자태를 뽐내며 벌나비를 부른다. 여름으로 접어드니 봄꽃들은 자리를 내어준다. 그 옆에선 또다른 들풀들이 제철을 기다린다. 자연스럽다는 말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인가보다. ? 엉겅퀴 꿀풀(하고초) 2013. 6. 6.
농장에 자생하는 뽕나무,산딸기,벗찌, 쥐밤나무~! 밀린 엄무처리로 10여일 만에 농장에 오니 그사이 녹음이 짖어져 별천지에 온듯 하다. 봄에 심은 두릅과 엄나무를 살펴보니 숲풀속에 묻혔지만 건강하게 잘자란다. 꽃눈이 맺혀있는 쥐밤나무 너머로 산뽕나무와 왕벗나무 열매들이 익어간다. 돌배나무 밑에는 다래덩쿨과 산딸기도 보인.. 2013. 6. 5.
자생곰취와 재배곰취 구별법 고산지대 습기가 많고 서늘한 곳에 자생하는 곰취는 산나물에 제왕이라 불릴만큼 그 향과 쌉싸름한 맛이 일품이다. 무분별한 산채로 자연산이 귀해 지면서 재배 곰취가 자연산으로 둔갑하고 있으나 자연산과는 그 향과 맛에 확연한 차이가 있다. 잎의 모양을 자세히 살펴보면 자연산 곰.. 2013. 6. 4.
두릅과 엄나무 뿌리심는 시기 두릅과 엄나무 뿌리 식재 후 싹이나는 시기와 생장과정을 살펴보면 발아시기나 발아율면에서 모두 엄나무가 빨랐다. 풀숲에서의 적응 과정을 살펴보니 두릅은 늦게나도 빨리 자라지만 엄나무는 두릅보다 생장이 늦었다. 엄나무 뿌리는 이른 봄 심어 풀이 자라기 전 싹을 틔우는 것이 유.. 2013. 6. 4.
농장에 자생중인 방한잎 방한잎은 다년생 식물로 양지바른 곳이나 거친 자갈밭 등에 군락을 이루며 란다. 방아잎 배초향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달걀모양의 잎둘레가 톱니 모양이며 7~9월에 자주색 꽃이 핀다. 소화를 촉진시키며 향이좋고 비린내를 없애주어 매운탕이나 추어탕 등의 요리에 향신료로 사용된다. .. 2013. 6. 3.
취나물 기르기 취나물 몇뿌리를 화분이나 스치로폼 박스 등을 활용해 배란다나 옥상등에 심어 두면 언제든 신선한 취나물을 즐길수 있다. 취나물은 생장이 빨라 잎을 딴 후 뿌리와 속잎을 남겨두면 3~4일만 지나면 먹기 좋을 만큼 다시 자란다. 부옆토에 심어두면 비료등을 주지 않아도 잘자라며 매년봄.. 2013. 6. 2.
두릅과 엄나무의 수익성 비교 두릅은 엄나무보다 옆순은 적지만 번식력이 왕성해 몇년이면 군락을 이룬다. 그러나 엄나무는 잔뿌리가 많고 땅속 깊이 뿌리를 내려 가뭄이나 태풍등 자연재해에 잘 견딘다. 이러한 특성에 비추어 볼때 두릅은 넓은 면적에 밀생이 좋으며 좁은 면적에서는 옆순이 많은 엄나무를 심는것.. 2013. 6. 2.
두릅뿌리 심는법-2 두릅은 엄나무보다 나무는 무르지만 뿌리는 단단하다. 새순이 난 뿌리를 캐내 살펴보면 실뿌리보다 새순이 먼저나 건조한 곳에 심으면 성장속도가 떨어지며 그늘진 곳이나 습한곳에서 잘자란다. 심는 장소에 따라 1년후 새순이 나기도 하며 실뿌리를 심어도 모두 새순이 난다. 1~2년 후 .. 2013. 6. 1.
두릅뿌리 심는법-1 두릅은 뿌리를 심어도 1달 정도면 새순이 나온다. 3월에서 5월사이 2~3년생 묘목에서 뿌리를 채취해 10센치 내외로 잘라 수평으로 심으면 1년에 50쎈치 이상 자란다. 토양의 습한 정도에 따라 2~3센치 정도의 깊이로 심으며 적당한 습도가 유지되는 토양에서 새순이 실하게 나온다. 건조한 곳.. 2013. 6. 1.
엄나무 뿌리심는 방법-3 뿌리 식재시에는 심는 장소의 습도를 파악해 건조한 곳에서는 약간 깊이 심는것이 좋으나 지형에따라 천차만별로 가늠하기가 쉽지않다. 다양한 방법으로 심어보니 수평이나 수직보다는 비스듬히 심을때 발아율이 높았으며 뿌리끝을 땅위로 나오도록 심은 모집단에서 가장빨리 싹이났.. 2013. 6. 1.
엄나무 뿌리 심는 방법-2 엄나무는 뿌리를 심어도 1달이면 새순이 나온다. 3~5월 뿌리를 채취해 15센치 내외로 자른 후 식재할 장소에 바로 심어도 문제가 없었다. 2미리 정도의 가는 뿌리에서도 싹이 났으며 가는 뿌리는 조금 길게 자르거나 잔뿌리를 붙여 두면 발아가 잘됐다. 건조한 곳이나 직사 광선은 피하는것.. 2013. 6. 1.
두릅 엄나무 심는법-2 두릅과 엄나무 묘목을 이식할 때는 밑둥에서 30 쎈치정도를 남기고 전지 한 후 심는것이 생장이 빨랐다. 뿌리가 실한 경우에도 전지 후 심는것이 몸살이 적고 튼튼하게 자랐다. 가뭄이 들거나 줄기에 눈이트기 시작한 묘목이라면 반드시 잘라줘야 묘목의 고사를 방지할수 있다. 수확 후에.. 2013. 5. 31.
두릅,엄나무 심는 법-1 두릅과 엄나무를 노지에 심은 후 활착 과정을 살펴보니 몇가지 공통점을 발견 할수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깊이심지 말라 하나 산비탈에서는 앝게 심어서는 몸살이 심했다. 나무를 심는 시기인 4월전후는 십중팔구 가뭄이 들기 때문이며 깊게심어 죽는 경우는 없었다. 깊이 심으면 .. 2013. 5. 31.
두릅과 엄나무 뿌리 성장 비교 가뭄이 계속되더니 여름장마 처럼 많은 봄비가 내렸다. 비가 그치고 기온이 오르니 두릅과 엄나무 순들이 하루가 다르게 자란다. 두릅나무는 엄나무 처럼 많은 곁순이 나오지는 않으나 움이트면 헐씬 빨리 자란다. 나무와 가시는 엄나무가 단단하지만 뿌리는 두릅 더 억세다. 그래서 그.. 2013. 5. 30.
엄나무 뿌리 심는 방법-1 엄나무는 묘목뿐 아니라 뿌리를 심어도 1달이면 싹이 난다. 습한 곳 보다는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 심은 후 부엽토로 살짝 덮어 볕을 가려 줄때 빨리 났으며 싹이난 후에는 습한 곳에서 잘 자랐다. 심는 방법으로는 평삽이나 직삽보다는 비스듬이 심는것이 발아율이 높았으며 뿌리끝이 땅.. 2013. 5. 26.
산넘어 산 이라더니.. 농장에 토종닭을 방사 하려니 하우스 문제등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너는 과연 제대로 미쳐본적이 있었느냐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 본다. 무엇이 두려워 망설이는가.. 도전하지 않고 얻을수 있는것은 아무것도 없다. 해보지도 못하는 아빠보다는 차라리 실패한 아.. 2013. 5. 26.
식용 산나물 두릅과 엄나무의 옆순을 관찰하고 농장에 자생하는 산나물들을 파악하기위해 근처 토종닭 농장의 신사장님과 함께 농장의 좌측 골짜기를 따라 올라갔다. 산삼과 더덕의 습생을 설명 들으며 자생하고 있는 산나물을 채취했다. 농장에 자생하는 산나물과 약초만 익히는 데도 족히 몇년은 .. 2013.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