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종 곰취 씨앗 판매44

씨앗 채종 농부에 가을은 1년 중 가장 바쁜 계절이다. 수확에 씨앗 채종등 하루가 어찌 지나는지 가름할 수도 없는 나날들의 연속이다. 종자는 영농에 근간으로 아무리 바빠도 적기에 채취 후 햇볕에 말려야 하며 미리 채취 하거나 건조기로 말릴 경우 간편 하기는 하나 발아가 않될 수 있어 주의가 .. 2018. 10. 16.
꽃대가 굵어진 곰취 입추가 지나며 연일 계속되던 불볕 더위가 한풀 꺾이자 골짜기 곰취들도 꽃대가 굵어지기 시작 한다. 산나물의 제왕이라 불리는 곰취는 맛과 향이 뛰어나 가꿔만 두면 없어 못파는 작물이다. 풀 속에서도 잘 자라고 수확량이 많으면서도 산짐승 피해가 없어 산지 활용에 제격 이지만 농.. 2018. 8. 23.
산약초 농장 만들기 ~ 14 ` 포트 작업 조성중인 제 2농장에 식재할 곰취와 산당귀 포트 작업을 마쳤다. 장기 소득 작물로 산더덕과 도라지씨들을 뿌려 뒀고 두릅과 음나무 뿌리를 심었으며 소득 발생이 빠른 곰취와 산당귀 씨앗 외 표고목을 만들어 뒀다. 토종 산더덕이나 도라지등은 생명력이 강해 뿌려만 두면 알.. 2018. 3. 8.
종자 채종 산행 사라져 가는 토종 종자 확보에 치중해 온지도 10여년이 다되 간다. 늘 이맘때면 반복 하는 일 이지만 올해도 배낭을 챙겨 산약초 채종 길을 나서 본다. 수확량이 적다며 개량종만을 선호 했으며 몸에 좋다는 이유로 어린 개채까지 싹쓸이 하는 몰지각한 이들로 인해 토종은 씨가 마른 실정.. 2017. 12. 26.
산약초 농장 만들기 ~ 5 작물 조합 요령 ~ ` 산에 농장을 만들 때는 작물 조합에 신중해야 한다. 한번 뿌려 두면 수십년 수확 할수 있는 곳이 산이기도 하지만 골짜기는 그늘과 잡목이 많아 성장이 늦은 단점도 함께 지닌 곳이기 때문이다 초기 산더덕을 주작물로 선택 하며 파종 후 수년이 지나야 수확이 시작 되.. 2017. 12. 12.
산약초 농장 만들기 ~ 4 ` 작물 선택 시 유의 사항 ~` 산에 농장을 만들 때는 작물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골짜기는 전답과는 비교할 수 없는 부가가치를 지닌 곳이지만 경사가 심하고 잡목 등이 많은 단점도 함께 지닌 곳이어 심고 뽑기를 반복하는 작물은 피하는 게 상책이었다. 둘째는 수확 기간이 긴 작물을 선.. 2017. 12. 10.
골짜기 농장에 초겨울 가을이 깊어지며 올 농사도 마무리 되 간다. 산은 전답과는 달리 밤낮의 기온차가 크고 겨울이 길어 늦게 시작하고 빨리 끝나는 곳이다. 토종을 써야 하며 북쪽에서 종자를 구해 남쪽에 심어야 하는 이유 이기도 하지만 골짜기는 성장 기간이 짧고 겨울 추위가 매서워 개량종이나 남쪽에.. 2017. 11. 17.
곰취 씨앗 채취 시기와 방법 가을이 깊어지자 늦여름까지 곰 발바닥을 닮았다는 큰손만한 잎들을 쉼없이 내어주던 골짜기의 곰취들도 씨방이 여물며 2세들을 위한 비행 준비들이 한창이다. 곰취는 바람만 잘 통하는 곳이면 어디서도 잘 자라지만 씨앗 채취가 유독 까다로운 작물이다. 여물면 날아가니 미리들 채취 .. 2017. 10. 17.
곰취가 좋은 이유 ~ ` 헐값의 임야를 선택해 산약초들을 재배 하려는 귀농인들이 늘고 있는것 같다. 산나물의 제왕이라 불리기도 하는 곰취는 맛과 향이 뛰어나 가꿔만 두면 없어 못파는 작물이기도 하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몇가지를 유념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수확 기간이 긴 작.. 2017. 8. 15.
4월 말 곰취 ~ ` 비가 오고 나자 골짜기마다 늦가을 씨앗이 떨어진 곰취들이 발디딜 틈 없이 얼굴들을 내밀기 시작 한다. 매년 반복되는 일들이지만 전답과는 달리 지켜보는 재미가 보통이 아니다. 적은 돈으로도 오염되지 않은 넓은 터를 마련할 수 있으니 골짜기를 선택해 산더덕 씨앗을 뿌려 뒀지만 .. 2017. 5. 17.
곰취 파종 시기와 관리 ~` 맛과 향이 뛰어나 산나물에 제왕이라 불리기도 하는 곰취는 싫어하는 사람이 없어 가꿔만 두면 없어 못파는 전망 밝은 청정 먹거리이다. 바람만 잘 통하는 곳이라면 어디서도 잘 자라는 고소득 작물 이지만 자연산이 고갈되 하우스에서 재배 하기도 하나 향이 좋은 고품질로 가꾸기 위해.. 2017. 5. 10.
토종과 개량종 ~` 자연으로 돌아가려 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전답과는 비교할수 없는 가치를 지닌 청정 지역이기 때문이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고자 한다면 씨앗과 종자의 특성을 알아야 낭패보지 않는다. 식물은 동물과는 달리 씨앗이 떨어진 곳에서 일생을 살아야 하기에 천적들을 이겨낼수 .. 2016. 11. 2.
9 월의 곰취 ~` 9월로 접어드니 골짜기 곰취들도 겨울 준비가 한창이다. 초기 작물 선택을 두고 고민도 많았지만 내가 곰취를 선택한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첫째, 곰취는 다른 임산물에 비해 소득 발생이 빠르면서도 판로 걱정이 없기 때문이었다. 씨를 뿌려도 1년이면 수확이 시작 되며 맛과 향.. 2016. 9. 21.
슈퍼 도라지 재배법 ~2 ` 최근 개발된 슈퍼 도라지에 관심있는 회원들이 많은 것 같다. 떠도는 소문들을 확인 코져 그간 시험 재배 하며 체험한 바들을 정리해 본다. 거친 비탈밭에서도 잘 자라 특별한 재배 기술은 필요치 않았고 물빠짐만 좋다면 논에서도 잘 자랐으나 상품성이 뛰어난 대물로 키우기 위해서는 .. 2016. 7. 21.
임야에 곰취 농장 만드는 요령 ~` 여름으로 접어들자 봄에 발아된 곰취들도 제각기 모습으로 자리들을 잡아가기 시작한다. 곰취는 풀속에서도 잘 자라 뿌려만 두면 바쁠 일이 없으며 향과 맛이 뛰어나 가꿔만 두면 없어 못파는 고급 식재료 이지만 산에 곰취 씨앗을 뿌릴 때에는 몇가지를 유의해야 실패 하지 않는다. 첫.. 2016. 6. 27.
산더덕 농장 만드는 요령~ ` 그간 체험들을 공개 하자 산더덕 농장을 만들려는 견학자들이 자주 온다. 투자비가 적으면서도 한번만 뿌려 두면 수십년간 수확할수 있기 때문이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 때는 반드시 몇가지를 주의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첫째 뿌리는 시기이다. 건습에 따라 조절이 필요 하지만 늦가을에.. 2016. 5. 6.
4월의 산더덕 ~` 기온이 오르자 깊은 겨울잠에 빠져 있던 산더덕들이 기지게를 켜기 시작 한다. 굵어진 개체들은 벌써 줄기를 뻗어 위용을 드러내며 풀들을 제압하기 시작 하고 지난 가을 떨어진 씨앗에서도 어린 싹들이 고개들을 내민다. 5백여평의 전답 값으로 3만여평의 버려진 골짜기를 선택하며 고.. 2016. 4. 28.
골짜기 농장에 봄 ~ ` 골짜기 농장에도 봄이 찾아 왔다. 응달의 계곡은 아직도 얼음 투성이지만 양짖녘엔 봄 기운이 완연 하다. 만들어 둔 표고목에선 고품질에 표고들이 나오고 성미 급한 산더덕들은 그 사이 움이터 덩쿨을 뻣기 시작 하며 위용을 드러내기 시작 한다. 곰취나 산당귀는 이제 싹이 트지만 골짜.. 2016.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