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야에 농장 만드는법13

산약초 파종과 낙엽 산약초 씨앗 파종방법에 대해 궁금해 하는 회원들이 많은 것 같다. 늦가을에서 여름 장마 전 낙엽을 헤치고 흙에 뿌리면 그만으로 힘들여 덮어주거나 낙엽을 걷어 낼 필요는 없다. 산은 전답과는 달리 경사가 심해 늘 건조한 곳이어도 쌓여있는 낙엽들이 이불 역할을 하며 수분 증발을 막.. 2020. 3. 9.
씨앗의 비밀 산에 농장을 조성하다 보면 어디에 어떤 씨앗을 뿌려야 하는지 알수 없어 난감한 경우들을 자주 격게 된다. 수년의 내공이 필요 하긴 하나 씨앗을 관찰하면 형태만 보고도 어디에 뿌려야 할지 대략적 판단이 가능하다. 씨앗마다 모양이나 크기, 색상등이 제각각 이지만 그 속에는 많은 비.. 2019. 8. 2.
풀을 이겨내는 작물 구분 요령 골짜기를 선택해 산약초 재배에 도전 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영농은 풀과의 전쟁이라고들 하지만 풀을 이겨 낼수 있는 작물인지 구분 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니다. 초보자가 알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덩쿨 여부이다. 산더덕이 풀속에 팽게쳐 둬도 굵어지는 .. 2019. 5. 13.
안정적 정착을 원한다면 베이비 부머 세대들의 퇴직 시기가 겹치며 시골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성공적 귀농은 의욕만 가지고 되는 일은 아니다. 귀농 후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꼼꼼한 사전 준비 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초기 1년이었다. 첫해는 일을 벌리기 보단 현금을 아껴보라 권하고 싶다. 하다보면 .. 2018. 12. 12.
활착율을 높이는 요령 산약초 재배에 나서지만 어려움을 격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토종은 생명력이 강해 첫해만 넘기면 죽는 일은 없으나 산은 가뭄이 심해 발아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에 산약초들은 늦가을에서 5월 사이 뿌리면 발아 되지만 일찍 뿌릴수록 활착율이 높다. 씨를 뿌려 보면 누구나 알.. 2018. 6. 6.
산약초 재배에 도전 하고자 한다면 ~ 3 ` 산약초 농장을 만들고자 하나 어려움을 격는 이들이 있는 것 같다. 적은 투자로도 고소득이 가능한 곳이 산 이기도 하지만 반드시 지켜야 할 몇가지를 간과한 때문이다. 산에 농장을 만들 때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작물 조합이다.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 할 수 있는 곳이 산 이기도 .. 2018. 5. 24.
줄기를 뻗기 시작하는 산더덕 기온이 오르자 산더덕들이 줄기를 뻗기 시작 한다. 철없는 바보라며 웃음거리가 되곤 했던 초기와는 달리 골짜기마다 발디딜 틈이 없으니 수십년을 캐내도 끝이 없을 듯 싶다. 산더덕은 풀 속에 팽게쳐 둬도 알아서들 굵어지니 뿌려만 두면 바쁠 일이 없는 작물 이기도 하지만 가장 큰 장.. 2018. 4. 30.
밭을 이룬 두릅 임야에 농장을 만들 때는 작물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전답과는 달리 잡목이나 산짐승이 많고 경사가 심해 작물 선택을 잘못하면 인건비만 수천만원씩 발생하기 때문이다. 두릅은 수익이 쏠쏠 하면서도 거친 골짜기 풀 속에서도 잘 자라고 씨를 뿌리거나 뿌리를 심어도 그만이어 타작물.. 2018. 4. 23.
종균이 퍼지기 시작 하는 표고목 가을부터 시작했던 제 2농장 조성이 끝나 간다. 낮 기온이 오르기 시작 하자 이른 봄 손을 녹이면서 만들었던 표고목에서도 종균들이 퍼지기 시작 한다. 표고는 그 지역 벗꽃 필 즈음 만들어 두면 다음해 가을 부터 나오는 것으로들 알고 있지만 2월 조기 접종해 비닐로 보온을 해 두면 고.. 2018. 4. 16.
봄인지 겨울인지 .. 4월임에도 때아닌 폭설이 내렸다. 강원도 산골에선 흔한 일이긴 하나 오후들어 내리기 시작한 비가 밤 기온이 떨어지며 눈으로 뒤바뀌더니 온 골짜기가 눈천지다. 슈퍼 도라지는 다년생 작물이어 일찍 심어 더크는 것도 아니며 혹여 모를 한파에 대비해 4월 초에 파종해 아직 발아되지 않.. 2018. 4. 10.
골짜기 농장에도 봄이 ~` 수십년만의 강추위가 계속 됬지만 입춘이 지나니 언제 그랬냐는 듯 골짜기의 얼음들이 녹으며 양짖녁 바위 주변부터 생강꽃들이 얼굴을 내밀기 시작 한다. 몇번을 다시 생각해도 농촌의 미래는 산에 있는 것 같다. 풀속에 씨만 뿌려 둬도 잘 자라는 토종 산약초들도 얼마든지 있으며 우.. 2018. 3. 27.
적은 돈으로 넓은 농장을 만들고자 한다면 ~ 3 ` 넓은 농장을 갖는 것은 모든 귀농인들의 바램 이지만 조금만 방법을 달리 하면 적은 돈으로 넓은 농장을 만드는 것도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니다. 맹지로 눈을 돌려 보는 것도 방법이다. 남의 땅이 막고 있다면 길이 있는 땅의 절반 이하에도 못미치지만 이런 땅들은 활용 여하에 따라 노.. 2018. 3. 15.
귀농 귀촌을 구상중 이라면~`` 귀농 귀촌을 준비하는 대부분에 사람들이 집까지 지을수 있는 터를 찾아 수년씩 발품들을 팔지만 주거는 따로 해결할 구상을 하며 경쟁력 있는 농지 마련에 집중해 보면 어떨지 싶다. 집까지 지을수 있는 땅은 값이 비싸 농지로써 경쟁력이 떨어지며 소득이 미미하면 고생은 불보듯 뻔한.. 2017.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