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에 농장 만드는 법11

직거래처 확보와 고객 관리 귀농인들이 격는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 고통인 듯 싶다. 출하가가 소비자가에 절반에도 못미치지만 직거래처가 없으니 아무리 열심히 농사를 지어도 중간상인만 배 불릴 뿐 득이없기 때문이다. 수만평의 골짜기에 산더덕 씨를 뿌려 뒀지만 직거래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경쟁력있는 .. 2018. 1. 24.
산약초 농장 만들기 ~ 6 ` 파종 시기 ~` 대부분에 작물들이 봄에 파종 하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가을에서 겨울 사이 낙엽을 헤치고 뿌리는 것이 좋으며 가장 적기는 낙엽이 2/3 정도 떨어진 늦가을이다. 산은 전답과는 달리 경사가 심하고 습이 부족 하기 때문으로 씨앗은 살아있는 생명체로 떨어진 곳의 습이나.. 2017. 12. 14.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 한다면 ~` 임야에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귀농인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오염되지 않은 청정 지역이면서도 값이 싸고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할 수 있기 때문 이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몇가지를 유의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가장 주의해야 할점은 산짐승이다. 산은 각종 야생동물들의 놀.. 2017. 7. 6.
5월 말 골짜기 농장 ~` 푸르름이 더해가는 계절 이지만 봄 가뭄이 계속 된다. 아직 5월임에도 30도를 오르내리는 이상 기후가 반복 되니 늘 맑은 물이 흐르던 계곡마져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시골 구석까지 환경 피괴의 영향을 받으니 안타깝기도 하지만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활용하는 농장을 구상한 것은.. 2017. 5. 29.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2 ` 작물 선택 요령 ~` 전답의1/10값에 불과하면서도 수배의 가치를 지닌 곳이 산이기도 하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의 작물 선택은 전답과는 또 다른 기준이 필요한 것 같다. 풀과 잡목이 욱어지고 돌이나 산짐승이 많으며 경사가 심해 가뭄에 대한 대비등 급복해야 할 난제들이 한두가지가 아.. 2017. 3. 9.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0 ` 작물 수확 방법 ~ ` 초기 뿌렸던 작물들의 수확 시기가 다되 간다. 5백여평에 전답 값으로 3만여평에 골짜기를 선택 하고 나니 좋은점도 많지만 산짐승과 좀도독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도 한두가지가 아니다. 그 중 하나가 수확이다. 골짜기마다 발디딜 틈이 없지만 한바퀴 돌아 보는데도 .. 2017. 3. 1.
산더덕 농장 만드는 요령 ~ 2 ` 눈덮힌 골짜기를 돌아 보니 잠못 이루던 지난 날들이 생각 난다. 적은 예산을 들고 갈등 끝에 산을 선택 했지만 산을 선택 후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어떻게 수익을 낼지 여부였다. 다양한 임산물들을 관찰해 봤지만 대부분 거친 풀을 이겨내지 못하거나 산짐승 피해등의 문제점들이 있었.. 2016. 12. 20.
산에 농장을 만들고자 한다면 ~` 산에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일이 적으면서도 같은값 전답에 수배 수익도 가능한 곳이기 때문 이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반드시 유의해야 할 몇가지가 있다. 첫째는 나무를 베지 말고 떨어지는 낙옆들을 퇴비로 활용할 구상을 해야 낭패보지 않는다. 대부분에 사람.. 2016. 12. 16.
골짜기 농장에도 겨울이 .. 새벽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 하더니 눈이 내린다. 첫눈 이라기엔 폭설에 가깝다. 이 눈을 시작으로 4~5개월 동안 긴 겨울잠에 빠지지만 이곳 사람들은 첫눈이 소담스럽게 내릴수록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눈이 오면 거지도 빨래를 한다는 훈숫꾼 할아부지 말대로 날씨가 푸근해 다행이긴 .. 2016. 11. 26.
10월의 산당귀 ~ ` 토종 종자들에 관심을 갖기 시작 한지도 10여년이 다되간다. 대부분 토종은 쓸모 없는 것이라고들 하지만 산을 가꿔보면 누구나 토종의 장점에 감탄하게 된다. 농약과 비료를 쉼없이 쳐도 얼마 버티지 못하고 도태되는 개량종과는 달리 풀과 잡목속에 팽게쳐 둬도 거뜬히 이겨 내며 몇년.. 2016. 10. 31.
10 월의 곰취 ~` 자연으로 돌아가려 임야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일이 적으면서도 같은값 전답에 수배 소득도 가능한 곳이기 때문 이지만 임야에 농장을 만들때는 작물 선택에 유의해야 낭패 보지 않는다. 임야는 오염되지 않은 청정 지역으로 한번 뿌려 두면 수십년 수확도 가능 하지만 전.. 2016.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