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21

맥문동 농장의 2~3부 능선에 맥문동이 군락을 이루며 자생한다. 맥문동은 음지나 그늘에서도 잘 자라지만 따뜻한 남부지방에 주로 자생한다. 꽃은 보라색으로 6월에 피며 가을이 되면 열매가 검게 익는다. 성질은 차고 맛은 달며 뿌리를 채취해 그늘에 말려 약으로 쓴다. 폐와 기관지가 허해 숨이.. 2013. 8. 19.
농장에 여름 여름으로 접어들며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찾아오니 농장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 욱어진 잡풀과 산야초 사이로 다양한 버섯들과 이끼류가 모습을 드러내고 초여름 벗찌나 오디가 차지하던 자리엔 돌배와 다래가 대신 한다. 더덕과 잔대 향이 짖은 수풀 사이로 으름 커가.. 2013. 8. 19.
산에서 뱀,벌,독충에 물렸을때.. 여름으로 접어드니 농장이 온통 잡풀과 덩쿨들로 뒤덮였다. 봄에 심은 두릅과 음나무를 살펴 보려 골짜기를 따라 올라 가니 이곳저곳에서 그동안 보지 못했던 버섯들이 보인다. 기록해 두려 사진을 찍어가며 4부 능선에 이르렀을 즈음 다리가 뜨끔하더니 불에 데인것 처럼 아프다. 깜짝.. 2013. 8. 17.
개똥쑥 농장 초입 양지바른 곳에 마치 심어놓기라도 한것처럼 개똥쑥이 밭을 이룬체 자생하고 있다. 항암 작용을 하는 성분들이 집중적으로 들어 있는 것으로 밝혀진 개똥쑥은 꽃이 지며 씨방이 맺힐 무렵인 8월 채취하는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녹즙을 내 먹으면 소화 불량이나 설사에 효능이 .. 2013. 8. 15.
질경이 농장입구에 질경이가 자생한다. 질경이는 전국의 길가나 밭둑 등에 자생하며 6~7월에 꽃이 피는 다년생 본초이다. 어린 잎은 국을 끓여 먹거나 나물로 먹으며 항산화 성분이 다량들어 있어 몸속의 활성산소를 제거고 지방간을 줄여 준다. 장복하면 피부가 맑아지고 고지혈증이나 동맥경.. 2013. 8. 10.
굴참나무 농장에 7부 능선 양지 바른 곳에굴참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굴참나무는 5월에 꽃이피며 열매는 둥글고10월에 익는다. 상수리나무와 비슷하나 잎 뒤면이 회백색으로 황록색인 상수리 나무와 쉽게 구분된다. 15년 정도 자라면 껍질이 약 1㎝ 이상 두꺼워 진다. 이때부터 코르크 껍질을 .. 2013. 8. 9.
돼지감자 전국어디에서나 잘자라는 돼지감자는 뚱딴지 라고 불리기도 하며 원산지는 아메리카로 인디언들의 주식으로 사용되었다. 줄기는 해바라기와 비슷하며 초가을 노란색 꽃이 핀다. 땅속줄기는 감자나 산마등과 비슷하며 천연 인슐린이라 불리는 이눌린 성분이 다량 들어 있어 당뇨 환자의.. 2013. 8. 7.
산 딸 기 농장 곶곳에 산딸기가 자생 한다. 산딸기는 전국의 산야에 자생하며 가시가 있는 줄기 끝에 6월 흰 꽃이 피며 7월이 되면 붉게 익는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지혈,항균,해독작용이 강해 독충이나 뱀에게 물맀을때 잎을 찌어 생즙을 바르면 효과가 있다. 열매에 면역력을 증대하고 항.. 2013. 8. 6.
두릅 꽃 8월로 접어드니 두릅나무에 꽃이 피기 시작 한다. 두릅은 씨앗을 심어도 싹이 난다. 열매를 채취해 양파망 등에 넣어 흐르는 물에 이틀정도 담갔다가 과육을 벗겨내고 깨끗이 씻어 땅속에 뭍어 두었다가 봄철에 심으면 싹이 난다. (다음해에 나기도 함) 묘목으로 자라기 까지는 시간이 걸.. 2013. 8. 5.
둥글레의 효능 농장에 자생 둥글레가 지천이다. 등글레는 전국의 산야에 두루 자생하며 회춘의 묘약이라 불리기도 하는 산야초다. 비타민과 단백질, 사포닌이 풍부해 기력보강이나 정력증진에 좋으며 장복하면 피부가 고와지고 혈색이 맑아지며 여성 불감증에 효과가 있다. 어린순은 살짝 데처 찬물에.. 2013. 8. 4.
두릅과 엄나무의 활착율 비교 봄에 두릅과 엄나무 1천그루씩을 똑같은 방식으로 심었다. 두릅은 70%가 살았지만 엄나무는 70%가 고사했다. 고사한 나무를 캐보니 절반정도는 뿌리는 살아 있다. 비가오고 난 후 다시 살펴보니 살아있 뿌리에서 싹이 트고 있다. 비온 후 싹이 트는걸로 보아 고사한 이유는 가뭄 때문인 것 .. 2013. 8. 1.
이름 모를 버섯들~ 여름으로 접어들며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자 골짜기의 이곳저곳에 자생하는 이름모를 버섯들이 각자의 자태를 드러 낸다. 이곳에서 자생하는 버섯들은 중부 이남에서는 볼수 없었던 것들이 대부분이다. 여름에도 서늘하며 겨울이 춥고 긴 기후 때문인것 같다. 버섯 중에는 생김새는 비.. 2013. 8. 1.
두릅 식재와 번식법 두릅은 번식에는 씨앗 파종과 묘목 이식외 뿌리 근삽 방법이 있다. 씨앗은 9월말 채취해 과육을 제거 후 깨끗이 씻어 냉장고에 보관 하거나 노지에 20~30센티 깊이로 묻어 두었다가 다음해 4월 배수가 잘되는 곳에 2~3센티 깊이로 심는다. 뿌리 근삽 법은 뿌리를 채취해 10여쎈티 길이로 잘라.. 2013. 7. 29.
골짜기에 독사가.. 장마가 계속되자 그 동안 싹이나지 못했던 두릅과 음나무의 뿌리들이 싹이나 풀속에서도 자리를 잡아 간다. 다래 덩쿨사이로 제법 굵어진 열매들이 보이고 자생중인 가래와 느릅나무에도 열매들이 맺혀있다. 풀숲을 해치며 6부 능선에 이르자 굵은 더덕줄기가 보인다. 허리를 굽히며 다.. 2013. 7. 29.
자생중인 세신~ 농장의 계곡을 따라 족두리풀이라 불리기도 하는 세신이 군락을 이루며 자생 한다. 세신은 매운맛이 나며 6~7월 채취해 노두와 잎을 제거 후 뿌리를 말려 약한 불에 달여(2g) 장복하면 기관지와 폐를 보하고 가래를 삭혀주며 눈이 맑아지고 만성기침을 멈추게하는 효과가 있다. 독성이 있.. 2013. 7. 29.
토종닭 방사을 계획하며.. 우리주위에는 세로운 일에 도전하기도 전에 "그건 무리이며 가능 할 리가 없다"라고 말하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먼저 하는 사람들이 있다. 어떤 사람도 세로운 일을 계획할때는 도전하려는 자신과 흔들리는 자신 사이에서 갈등 하게 된다. 사람은 누구나 부정과 긍정이라는 양날의 칼을 .. 2013. 7. 25.
산나물 약초의 습생과 자생지 ~ 농장의 계곡을 따라 다양한 종류의 산야초가 군락을 이루며 자생 한다. 깊은 산에 자생하는 약초나 나물의 70%는 물이 흐르는 골짜기를 중심으로 적당한 그늘이 있는 곳에 자생 한다. 추위와 더위를 좋아하는 습생에 따라 고산지대 등에서 발견 될 뿐 더덕이나 잔대,산삼같은 뿌리식물 역.. 2013. 7. 23.
농장에 블루베리 도독이~! 농장에 몇 그루 심었던 블루베리가 가지가 찢어질 많큼 열렸다. 여름으로 접어들며 익기 시작하더니 시큼한 맛이 그만이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익기가 바쁘게 사라진다. 사람에 발자국도 없는데 흔적도 없이 사라지니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하루종일 지켜볼 수도 없는 노릇으로 속만.. 2013.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