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마늘 재배법4

하루가 다르게 자라는 산마늘 기온이 오르자 산마늘들의 키재기가 한창이다산마늘은 이른 봄 가장 먼저 나오는 봄나물로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것으로들 알고있지만 깊은산 어디서도 잘 자라는 대표적봄나물이기도 하다. 어느 지역이든 생강꽃과 함께 산마늘 1차 수확이 끝날 즈음이면 두릅 출하가 시작 되며 기타 봄나물들도 싹이트기 시작해 그 지역 산약초들의 수확 일정을 가늠하는 자연의 시계와도 같은 녀석들이다.  참채외 장아찌를 담아도 그만이어 재고 걱정이 없는 것이 장점이지만파종 후 수학까지 수년이 걸리며 스스로 풀을 이겨내지못하는 것이 단점이었다.초기 뿌린 산마늘 ~`야가 요래뵈도 십년생의 나이쟁이로 기온이서늘한 곳이면 어디서도 잘 자랐다.기온이 오르자 우후죽순 몸매 자랑이 시작된다.초기성장은 늦지만 한번 수학이 시작되면 십수년씩 지속되며종근을.. 2025. 4. 9.
장마와 풀 .. 가뭄이 계속 되더니 장대비가 내리기 시작 한다. 타들어가던 작물에 생기가 돌아 좋지만 장마가 계속 되니 물만나 고기처럼 풀들이 기승을 부리기 시작 한다. 지금 뽑아주지 않으면 온 밭을 뒤덮어 작물에도 영향이 클텐데 이 빗속에 무슨 풀이냐 아무도 꼼짝을 안하니 마음만 급할 뿐 방.. 2017. 7. 10.
임야를 선택 하고자 한다면 ~ 15 ` 임야를 선택해 각종 임산물들을 재배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작물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날수록 소득이 증가하는 산더덕등과는 달리 산나물류는 소득 발생이 빠른 장점은 있지만 단점도 함께 지닌 작물들이기 때문이다. 가장 주의.. 2017. 6. 5.
산에 농장을 만들고자 한다면 ~` 산에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일이 적으면서도 같은값 전답에 수배 수익도 가능한 곳이기 때문 이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반드시 유의해야 할 몇가지가 있다. 첫째는 나무를 베지 말고 떨어지는 낙옆들을 퇴비로 활용할 구상을 해야 낭패보지 않는다. 대부분에 사람.. 2016.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