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취 농장 만드는 법9 고소득 산약초 - 곰취 버려진 골짜기를 활용해 산약초를 재배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바쁠 일이 없으면서도 소득 또한 쏠쏠하기 때문이지만 작물 선택에는 몇가지 주의도 필요하다. 산은 경사로 인해 인건비 등이 배로 들어 사람의 보살핌이 필요하거나 풀을 이겨내지 못하는 작물은 죽도록 고생만 할 뿐 뿌려봐야 득이없기 때문이다. 산짐승 역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산은 논밭과는 달리 산짐승들에게는 안방 과도 같은 곳이어 철조망을 치는등 지키려 해서는 숨바꼭질만 끝없이 되풀이 돼 아무리 전망이 밝아도 산짐승이 좋아하는 작물은 피하는 게 상책이었다. 수확 기간 또한 살펴야 할 점이었다. 대부분에 산나물류는 봄 며칠 수확해 비라도 내리면 낭패 보기 십상이어 장아찌나 말려 묵나물 등으로도 쓸수 있는 작물을 선택해야 .. 2021. 2. 5. 곰취 농장 만드는 요령 곰취 씨앗 수확이 끝나간다. 봄 가뭄에 이어 늦장마가 계속 되 수확량은 예년만 못하지만 몇일 날씨가 좋아 그나마 다행이다. 야생종 곰취는 농약등이 필요 없고 풀 속에서도 잘 자라며 산나물의 제왕이라 불릴 만큼 맛과 향이 뛰어나 판로 걱정이 없으며 말려 두고 사철 사용이 가능하고.. 2019. 10. 18. 빠른 성장을 원한다면 퇴직 후를 대비해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바쁠 일이 없고 적은 투자로도 고소득이 가능하기 때문 이지만 빠른 안정을 위해서는 초기 1년이 중요하다. 토종 산약초들은 생명력이 강해 첫해만 넘기면 죽는 일은 없으나 산은 경사가 심해 가뭄 영향이 크지만 .. 2018. 6. 25.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 하는 골짜기 농장 드디어 제 2농장 조성 작업이 끝났다. 늦가을 부터 시작 했지만 면적이 넓고 다른 일들과 병행 하다 보니 7개월이 걸렸다. 벌목 후 신품종을 심어 다수확을 겨냥 하는 이들도 있으나 그간 번식 해 온 토종 씨앗들을 뿌려 떨어지는 낙엽을 퇴비로 활용하며 환경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자.. 2018. 6. 2. 4월 말 곰취 ~ ` 비가 오고 나자 골짜기마다 늦가을 씨앗이 떨어진 곰취들이 발디딜 틈 없이 얼굴들을 내밀기 시작 한다. 매년 반복되는 일들이지만 전답과는 달리 지켜보는 재미가 보통이 아니다. 적은 돈으로도 오염되지 않은 넓은 터를 마련할 수 있으니 골짜기를 선택해 산더덕 씨앗을 뿌려 뒀지만 .. 2017. 5. 17. 골짜기를 둘러 보며 ..` 뿌려 둔 산더덕과 두릅, 음나무들을 살펴보려 골짜기를 한바퀴 돌아보니 온 산이 산나물 천지다. 봄비가 오고 나자 하루가 다르게 자란다. 돌틈과 그루터기 사이론 뿌려 둔 산삼들도 보이고 골짜기엔 야생 씨앗을 채취해 번식중인 멸종 위기의 토종들도 저마다의 모습으로 자태들을 뽐낸.. 2017. 4. 30.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8 ` 토종을 뿌려야 하는 이유 ~` 값이 싸고 일이 적으면서도 고수익이 가능한 곳이 임야임이 밝혀지며 산에 임산물을 가꾸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왜 토종을 뿌려야 하는지 까닥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토종을 뿌려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임야의 특성 때문이다. 산은 경사가 심.. 2017. 4. 4. 내가 곰취를 선택한 이유 ~` 자연으로 돌아가려 산을 선택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 때는 반드시 몇가지를 유의해야 낭패 보지 않는다. 가장 주의해야 할점은 산짐승이 좋아하지 않는 작물을 선택 해야 한다는 점이다. 야생 동물들에 피해는 상상 이상으로 이를 소홀히 하면 산짐승 밥주다 말기 .. 2017. 3. 5. 9 월의 곰취 ~` 9월로 접어드니 골짜기 곰취들도 겨울 준비가 한창이다. 초기 작물 선택을 두고 고민도 많았지만 내가 곰취를 선택한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첫째, 곰취는 다른 임산물에 비해 소득 발생이 빠르면서도 판로 걱정이 없기 때문이었다. 씨를 뿌려도 1년이면 수확이 시작 되며 맛과 향.. 2016. 9.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