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산더덕 씨앗 판매12 산약초 농장 만들기 ~ 5 작물 조합 요령 ~ ` 산에 농장을 만들 때는 작물 조합에 신중해야 한다. 한번 뿌려 두면 수십년 수확 할수 있는 곳이 산이기도 하지만 골짜기는 그늘과 잡목이 많아 성장이 늦은 단점도 함께 지닌 곳이기 때문이다 초기 산더덕을 주작물로 선택 하며 파종 후 수년이 지나야 수확이 시작 되.. 2017. 12. 12. 9월의 산더덕 가을로 접어드니 골짜기 산더덕들도 겨울 준비가 한창이다. 베짱이 영농일기를 공개 하자 산더덕 파종 시기와 방법에 대한 질문들을 자주 받는다. 풀속에서도 잘 자라 바쁠 일이 없고 굵어질수록 값이 뛰며 시간이 지날수록 소득 또한 증가하니 노후 준비로도 그만인 작물이기 때문인 것.. 2017. 9. 15. 산더덕 농장 만드는 요령 헐값인 임야를 활용해 산더덕을 재배 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것 같다. 매년 심고 뽑기를 반복하며 풀을 메줘야 하는 논밭과는 달리 투자비가 적고 바쁠일이 없으면서도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할 수 있기 때문 이지만 산더덕 농장을 만들때는 몇가지를 유의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 2017. 8. 11.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8 ` 토종을 뿌려야 하는 이유 ~` 값이 싸고 일이 적으면서도 고수익이 가능한 곳이 임야임이 밝혀지며 산에 임산물을 가꾸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왜 토종을 뿌려야 하는지 까닥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토종을 뿌려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임야의 특성 때문이다. 산은 경사가 심.. 2017. 4. 4. 산더덕 농장 만드는 요령 ~ 2 ` 눈덮힌 골짜기를 돌아 보니 잠못 이루던 지난 날들이 생각 난다. 적은 예산을 들고 갈등 끝에 산을 선택 했지만 산을 선택 후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어떻게 수익을 낼지 여부였다. 다양한 임산물들을 관찰해 봤지만 대부분 거친 풀을 이겨내지 못하거나 산짐승 피해등의 문제점들이 있었.. 2016. 12. 20. 10월 초 산더덕 ~ ` 골짜기에 터를 마련하여 산더덕을 재배하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농약이나 비료등이 필요 없으며 수익 또한 높기 때문이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 때에는 반드시 몇가지를 주의 해야 낭패보지 않는다. 첫째는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씨를 뿌려 떨어지는 낙옆을 퇴비로 .. 2016. 10. 11. 슈퍼 도라지 재배법 ~2 ` 최근 개발된 슈퍼 도라지에 관심있는 회원들이 많은 것 같다. 떠도는 소문들을 확인 코져 그간 시험 재배 하며 체험한 바들을 정리해 본다. 거친 비탈밭에서도 잘 자라 특별한 재배 기술은 필요치 않았고 물빠짐만 좋다면 논에서도 잘 자랐으나 상품성이 뛰어난 대물로 키우기 위해서는 .. 2016. 7. 21. 7월의 산더덕 ~` 여름으로 접어드니 산더덕과 도라지들이 줄기를 뻣으며 온 골짜기를 뒤덮기 시작 한다. 5백여평에 전답값으로 3만여평의 버려진 골짜기를 선택하며 숫한 밤을 뜬눈으로 세우기도 했지만 굵어진 산더덕과 도라지,곰취,산당귀들로 발디딜 틈이 없으니 산을 선택한 것은 다시 생각해 봐도 .. 2016. 7. 16. 골짜기 농장에 봄 ~ ` 골짜기 농장에도 봄이 찾아 왔다. 응달의 계곡은 아직도 얼음 투성이지만 양짖녘엔 봄 기운이 완연 하다. 만들어 둔 표고목에선 고품질에 표고들이 나오고 성미 급한 산더덕들은 그 사이 움이터 덩쿨을 뻣기 시작 하며 위용을 드러내기 시작 한다. 곰취나 산당귀는 이제 싹이 트지만 골짜.. 2016. 4. 14. 골짜기 농장에도 봄이 ~` 골짜기 농장에도 봄이 찾아 왔다. 눈이 오나 바람 부나 늘 때가 되면 나타나 양짖녘 모퉁이에 자리를 잡으니 참 한결 같은 녀석이다. 아직 얼음 투성이지만 낙옆을 헤쳐 보니 겨울 잠에서 깨어난 풀벌레들이 날개짖을 시작 하고 혹한을 견뎌낸 산더덕들도 향이 더해지며 움이 트기 시작 .. 2016. 3. 16. 산을 가꾸는 요령 ~` 노후 준비를 위해 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같은값 전답에 수십배 가가치를 지닌곳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거칠고 험한 산에 농장을 조성 할때는 반드시 몇가지를 유의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첫째 총 예산의 20% 는 반드시 씨앗값으로 사전 책정해 둬야 한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 2016. 2. 17. 작물로 풀을 제어하는 법 ~` 농산물 시장이 개방되며 저가의 수입산들이 밀려오니 농촌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들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 만도 아닌 것 같다. 저가의 수입산물들로 소비자의 욕구를 모두 만족 시킬수는 없는 일이며 배를 채우기 위해 먹던 시대는 끝났는지 모르나 몸을 고치는 농업은 이제 시작이기 .. 2016. 2.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