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로 접어 들자 발아 된 산더덕들도 형태들을 갖춰가기 시작 한다.
남부 지방과는 달리 극심한 가뭄이 계속 되 온 골짜기가 타들어 가고 있음에도
자리들을 잡아가니 참 대단한 녀석들이다.
산더덕은 투자비가 적으면서도 한번 뿌려 두면 씨가 퍼지고 어린싹들이 뒤를 이어
수대에 걸쳐 수확하는 작물 이지만
경사가 심하고 산짐승 피해도 많은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종자 선택에 신중해야 낭패보지 않는다.
종자의 우량 여부에 따라 수확량도 수배씩 차가 나며
종자가 빈약하면 가뭄 피해도 몇배 크나 억지로 살리려 해서는
일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기 때문이다.
토종은 모두 좋은 것으로들 생각 하기 쉬우나
근친 교배가 반복 되 토종 본연의 강인함이 퇴화 된 개체들은
병해가 발생 위험이 크고 시간이 지나도 굵어지지 못해
종자로 쓰기 위해서는 우량한 개체만을 따로 분류해
야성 복원 후 사용해야 문제가 없다.
가장 확실한 것은 시간은 걸려도 소량이라도 야생에서 씨를 받아
번식시켜 나가는 방법이며
외부에서 구입할 때는 십여년씩 걸리는 야성 복원 과정들을 꼼꼼히 살펴야 하고
검증 가능한 기록들이 없다면 피하는게 상책이다.
생명력이 강한 야생종 더덕 ~`
가뭄이 계속되도 거뜬히 견뎌내니 참 대견한 녀석들이다.
급수가 자유로운 논 밭과는 달리 늘 건조한 산에서는 억지로 가꾸려 하기보단
강한 종자를 쓰는 것이 빠른 활착을 유도하는
확실한 방법이다.
풀을 제압하는 산더덕 ~~
논밭에서는 풀들이 작물의 성장을 방해 하지만
건조가 심한 산에서는 풀이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야생에서 씨를 받아 번식 시키면 풀속에 팽게쳐 둬도
죽는 일은 없다.
볕을 찾아 가는 산더덕 ~`
더덕은 스스로 줄기를 뻗으며 볕을 찾아가 잡목들은 그리 문제 되진 않으나
욕심을 부려 나무를 베내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
1~2년도 못되 풀이 뒤덮어 주의가 필요하다.
야생종 산더덕 ~`
무분별한 채취로 씨가 마른 실정 이지만 야생종들은 생명력이 강한 외
고유의 방어 물질들을 지니고 있어 병해 발생이나 산짐승 피해가 없는 보물들로
줄기를 뻗기 시작하면 급속히 굵어지며 수년이 지나도 썪는 일이 없다.
*기타 재배 방법이나 장소 선택 요령, 직거래처 확보 방법, 적은 돈으로 농장 만드는 법등은
각 방에 올려 둔 글들을 참조 하세요.
*산약초 씨앗 예약 안내
씨앗이 부족해 모두 보내 드릴 수 없음을 양해 바라며 필요하신 분은 미리 신청 후
주소와 폰번, 수량, 입금인 이름 댓글이나 쪽지 남겨 두심 접수 순으로 (11월 부터 )
보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종자업등록 10-포천-2019-70-01 >
토종 더덕 씨앗 : 1 리터 - 15 만원 ( 1천여평 뿌려 짐 )
야생종 더덕 씨앗 : 1 리터 - 35 만원 ( 1천여평 뿌려짐 )
3년생 더덕 종근 : 1 가마 - 50 만원 ( 당해 씨앗 채종 가능 )
야생종 곰취 씨앗 : 1 리터 - 60 만원 ( 2천여평 뿌려짐)
야생종 당귀 씨앗 : 1 리터 - 30 만원 ( 1천여평 뿌려짐 )
야생종 두릅 씨앗 : 1 리터 - 50 만원 ( 3천여평 뿌려 짐 )
야생종 두릅 뿌리 : 500개 - 30 만원
음나무 뿌리 : 5 00개 - 30 만원
도라지 씨앗 : 1 리터 - 15 만원 ( 1천여평 뿌려짐 )
우체국 012989 -02- 101842, 백 가람, 010-9589-8466
'산 더덕 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굵어진 산더덕 (0) | 2019.10.09 |
---|---|
한여름 산더덕 (0) | 2019.08.24 |
산더덕 재배와 씨앗 채취 (0) | 2019.01.08 |
산더덕 농장 만드는 법 ~ 3 ` (0) | 2018.06.09 |
줄기를 뻗기 시작하는 산더덕 (0) | 2018.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