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잔대13

잔대 잔대는 딱주, 또는 사삼이라고도 불리는 산약초로 바람이 잘 통하는건조한 능선 등에 주로 자생하며 고지대외 야산 등전국에 분포하는 산약초이다. 천식 기침등 호흡기 질환에 특효를 보이며 피를 맑게하는 사포닌 성분이 풍부해면역력 강화나 산후조리, 부인병 등에 주로 쓰이지만 혈압을 낮추는효과가 커 저혈압 환자는 주의가 필요하다. 독성은 없으나 과다 복용하면 위장 장애를 일으키기도 하며 고라니 멧돼지 등의산짐승 피해가 크며 늦가을에서 봄사이 파종하지만발아는 까다로운 편이었다. 볕이 좋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이면 어디에서도 잘 자라며피를 맑게해 산후조리및 부인병에 주로 쓰이는 다년생 산약초이다. 사포닌 성분이 풍부하지만 도라지나 더덕 등과는 달리 고라니 등의산짐승들이 좋아해 소득원으로는 가꾸기에는어려움이 있었다. .. 2024. 5. 12.
한겨울 산약초 겨울로 접어들자 동장군들이 몰려와 기승을 부려 대지만 땅속에 몸을 숨긴 산약초들은 아무일도 없다는 듯 저마다 단잠들이다. 칼바람까지 가세해 흔들어 보지만 나무들이 내어 준 낙엽 이불이 넉넉하니 걱정할 일이 없나보다. 산약초들에게 겨울은 보약과도 같은 계절이다. 겨울잠을 .. 2019. 12. 26.
찾아 온 동장군 산약초들로 발디딜 틈이없던 골짜기에도 동장군이 찾아 왔다. 흔해 빠진 시계 하나 없으면서도 어찌들 아는지 때만 되면 찾아 오니 참 용한 녀석들이다. 온 골짜기를 얼음 투성이로 만들며 꼼짝 마라 심술들을 부려 대니 사람에게는 불청객 이지만 그렇다고 요치들이 영 나쁜 것만은 아.. 2019. 12. 15.
귀농 작물 선택 요령 산약초 재배에 치중해 온지도 십 수년이 다 되 간다. 시도해 본 사람조차 없던 시절이었으니 시행착오도 많았지만 요지같던 산더덕들이 팔뚝만큼 굵어졌음을 보노라면 흘러간 시간들을 실감 하기도 한다. 애써 가꿔봐도 찾는 사람들이 없던 시절이었으니 웃을만도 했지만 내가 추구한 .. 2018. 11. 27.
실패 하지 않는 귀농 ~ 5 ` 빠른 안정은 모든 귀농인들에 바램 이기도 하지만 영농은 재배만이 능사가 아니며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몇가지 사전 준비들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단기 소득원의 확보이다. 소득 발생이 늦어지면 안정감을 잃게 되고 고생은 불보듯 뻔한 일이어 장기적 작물 외 .. 2018. 3. 23.
퇴직 후를 고민 중 이라면 - 골짜기는 헐값에 불과 하지만 풀 속에 씨만 뿌려 둬도 시간이 지날수록 값이 뛰는 산약초들도 얼마든지 있어 - 이러저런 글에 답글들을 달다 보면 어느새 한밤중이다. 감사에 댓글도 있고 악플을 달거나 딴지를 일삼는 이들도 있다. 살다보면 여러 일들을 격게 되지만 우리 주변에는 뜻.. 2018. 3. 12.
실패 하지 않는 귀농 ~ 2 ` 임야는 헐값에 불과 하면서도 전답과는 비교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곳 이지만 임야를 선택 할 때에는 반드시 유의해야 할 점들이 있다. 임야의 매력은 청정 지역이면서도 값이 싸다는 점 이지만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주거는 근처에 따로 마련할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집까지 지.. 2018. 1. 27.
꿩 잡는게 매 ~~ ㅋㅋ 회색 도시를 뒤로 하고 자연으로 돌아 오니 잔잔한 재미도 한두 가지가 아니다. 슈퍼 도라지 밭 헛골을 따라 뿌려 둔 배추들이 산더미로 동네 잔치를 했음에도 몇 포기가 남는다. 코흘리게 시절 김장철이면 배추 꽁지 입에 물고 어머니 눈 동냥 하던 돌팔이 기억들을 더듬어 몇포기 쓱싹.. 2018. 1. 14.
산약초 농장 만들기 ~ 11 ` 표고목 만들기 ~`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씨 뿌리기와 함께 표고목을 만들어 두면 여러가지 잊점들이 많다. 골짜기에 자생하는 참나무를 활용 하면 별도 투자 없이도 안정적 소득원이 되 주기 때문이다. 표고는 늦가을 참나무를 잘라 겨울 동안 말린 후 종균을 넣어 두면 4~5년에 걸쳐 나.. 2018. 1. 9.
종자 채종 산행 사라져 가는 토종 종자 확보에 치중해 온지도 10여년이 다되 간다. 늘 이맘때면 반복 하는 일 이지만 올해도 배낭을 챙겨 산약초 채종 길을 나서 본다. 수확량이 적다며 개량종만을 선호 했으며 몸에 좋다는 이유로 어린 개채까지 싹쓸이 하는 몰지각한 이들로 인해 토종은 씨가 마른 실정.. 2017. 12. 26.
산약초 농장 만들기 ~ 8 ` 조성 방법과 진행 순서 ~`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방법과 순서에 유의해야 낭패 보지 않는다. 방법이 잘못 되거나 순서가 뒤바뀌면 일이 눈덩이 처럼 불어 나며 아무리 노력해도 헛고생이다. 초보 귀농인들이 흔히 범하는 실수가 벌목이다. 볕이 잘 들어야 작물 성장이 빠를 것으로들 생.. 2017. 12. 23.
농장의 자생 산도라지~ 농장 7부 능선쯤에 이르면 더덕과 잔대 도라지 등이 사생 한다. 깊은산 능선에서 자생하는 산도라지는 작고 질긴편이지만 향과 약성이 강하다. 뿌리와 잎이 잔대와도 비슷하다. 잔대잎은 마주나지만 도라지는 어긋난다. 자연산 도라지는 천식과 기관지에 좋으며 기침을 진정시키는 효과.. 2013. 7. 17.
버섯은 버섯인데~~? 여름으로 접어들며 비가 내리고 나니 이름모를 버섯들이 고개를 내민다. 농장의 5부능선을 넘어서면 넙적 바위들과 무너져 내린 돌무더기들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바위굴들 사이로 약수가 흐르는 곳엔 어김없이 크고 작은 동물들의 발자국이 보인다. 산짐승들이 물을 먹으러 오는것 .. 2013.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