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더덕 판매5 굵어진 산더덕 늦여름 같은 날씨가 계속 되더니 기온이 뚝 떨어졌다. 배송할 물량도 맞춰야 하고 추위가 몰려 오기 전 더덕 캐기를 마치려 이른 아침부터 서둘러 보지만 노루 꼬리 만한 가을 해가 산마루에 걸친다. 늦더위가 기승을 부려 대지만 평지와는 달리 산 정상쪽은 이미 씨방이 여물고 잎이 노.. 2019. 10. 9. 늦가을 산더덕 건조중인 씨앗 갈무리를 마치니 한해도 마무리 되간다. 골짜기에 둥지를 틀며 토종 산더덕을 재배해 온지도 10여년이 다되 가지만 산은 늘 가을이 짧고 겨울이 빨리 오는 곳이다. 방치된 산을 활용해 산더덕을 재배 하려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대부분에 사람들이 너무 조급해 하는 것 같.. 2017. 11. 24. 산더덕 농장 만드는 요령 헐값인 임야를 활용해 산더덕을 재배 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것 같다. 매년 심고 뽑기를 반복하며 풀을 메줘야 하는 논밭과는 달리 투자비가 적고 바쁠일이 없으면서도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할 수 있기 때문 이지만 산더덕 농장을 만들때는 몇가지를 유의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 2017. 8. 11. 6월 초 산더덕 ~` 연일 폭염이 계속 되지만 찜통인 논밭과는 달리 골짜기에 들어서니 이제 5월이 막 지났음을 말하기라도 하려는 듯 골바람이 서늘하다. 극심한 가뭄이 계속 되지만 한달도 견디지 못하고 말라죽던 초창기 개량종을 뿌렸을 때와는 달리 야생에서 종자를 채취해 번식중인 토종들은 하나같.. 2017. 5. 30. 산더덕 농장 만드는 요령 ~ 2 ` 눈덮힌 골짜기를 돌아 보니 잠못 이루던 지난 날들이 생각 난다. 적은 예산을 들고 갈등 끝에 산을 선택 했지만 산을 선택 후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어떻게 수익을 낼지 여부였다. 다양한 임산물들을 관찰해 봤지만 대부분 거친 풀을 이겨내지 못하거나 산짐승 피해등의 문제점들이 있었.. 2016. 12.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