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 둔 골짜기를 활용해 산더덕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혼자서 수만 평을 관리해도 바쁠 일이 없고 한번 뿌려 두면 수십 년에 걸쳐 수확하며
굵어질수록 값도 뛰기 때문이지만
산더덕 농장을 만들때는 몇 가지 유의도 필요하다.
첫째는 뿌리는 시기이다.
모든 산약초들이 그러하듯 늦가을 부터 여름 장마 전 언제 뿌려도 관계는 없으나
낙엽이 떨어진 이후인 늦가을에 뿌리는 것이 발아율이 높으며
파종이 빠를수록 활착도 잘 된다.
둘째는 뿌리는 방법이다.
산은 나무를 베내면 순식간에 풀과 잡목들이 뒤덮어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 뿌려
떨어지는 낙엽들을 퇴비로 활용해야 고품질로 자라며
잡목들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씨부터 뿌린 후 잡목들을 제거해야
작업 과정에서 낙엽위에 떨어졌던 씨들도 흙에 묻힌다.
셋째는 종자 선택이다.
수확량이 많다며 개량종을 찾는 사람도 있으나
개량종은 거친 잡목들을 이겨내지 못해 일년에도 몇번씩 제초 작업이 필요해
소량이라도 생명력이 강한 야생종을 채취해 번식시켜 나가는 것이
일을 줄이는 방법이다.
산은 논밭과는 달라 얼마든지 혼작도 가능한 곳이다.
굵어질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단점도 있지만 성장이 빠른 곰취나 산당귀등의
엽채류들을 섞어 뿌리면 소득 발생을 앞당길 수 있으며
모두 살리려 하기보단 넉넉히 씨를 뿌려 살아남는 개채들만 수확 하는것이
적은 비용으로 고소득을 올리는 요령이었다.
종자 선택 ~`
수확량이 많다며 개량종을 찾는 사람도 있으나 거친 잡목들이 많은 산에서는
소량이라도 생명력이 강한 야생종을 뿌려야 살아남으며
흙을 약간 섞어 주면 뿌리기에 한결 수월하다.
파종 방법~`
자연림에 풀이 적은 것은 생테계가 안정돼 있기 때문이나
나무를 베내면 순식간에 풀과 잡목들이 뒤덮어 나무를 베기 보단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낙엽만 헤치고 뿌려 두는 것이 확실한 방법이며
조건이 열악한 곳은 다음 해 발아되기도 한다.
알아서들 자라는 산더덕 ~`
산더덕은 한번 뿌려 두면 그 씨가 퍼지며 어린싹들이 뒤를 이어
수십 년에 걸쳐 수확할 수 있는 작물이기도 하다.
모두 살리려 억지를 부려대기 보단 씨를 넉넉히 뿌려 자연에 맡겨 두며
살아남는 개체만 수확할 구상을 하는 것이
일을 줄이는 요령이었다.
굵어진 산더덕 ~`
산더덕의 가장 큰 장점은 스스로 덩굴을 뻗어 풀들을 제압해 손댈 일이 없다는 점이다.
굵어질수록 값이 뛰어 시간이 지날수록 소득도 증가하지만
종자가 나쁘면 십년이 지나도 손가락 굵기를 벗어나지 못해 소량이라도
우량한 개체에서 씨를 받아 번식 시켜야 낭패보지 않는다.
굵어질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나 성장이 빠른 엽채류들을 섞어 뿌리면
빠른 소득 발생도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었으며
두릅 도라지등을 함께 뿌려보니 같은 면적에서 몇배의 소득도 가능했다.
* 기타 작물 선택 방법이나 장소 선택 요령, 직거래처 확보 방법, 적은 돈으로 농장 만드는 법등은
각 방에 올려 둔 공지 글들을 참조 하세요.
*산약초 씨앗 안내
씨앗이 부족해 모두 보내 드릴 수 없음을 양해 바라며
필요하신 회원은 주소와 폰번, 수량, 입금인 이름, 댓글이나 쪽지 남겨 두심
접수 순으로 보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야생종 더덕 씨앗 : 1 리터 - 35 만원 ( 1천여 평 뿌려짐 )
야생종 곰취 씨앗 : 1 리터 - 60 만원 ( 2천여 평 뿌려짐)
야생종 당귀 씨앗 : 1 리터 - 30 만원 ( 1천여 평 뿌려짐 )
야생종 두릅 씨앗 : 1 리터 - 50 만원 ( 3천여 평 뿌려 짐 )
야생종 두릅 뿌리 : 500개 - 30 만원
도라지 씨앗 : 1 리터 - 15 만원 ( 1천여 평 뿌려짐 )
우체국 012989 -02- 101842, 백 가람, 010-9589-8466
'산 더덕 재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더덕 농장 조성시 유의 사항 (0) | 2021.02.23 |
---|---|
산더덕이 좋은 이유 (0) | 2021.01.16 |
산더덕의 장점 (0) | 2019.12.08 |
까치 더덕 (0) | 2019.11.21 |
굵어진 산더덕 (0) | 2019.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