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뢰삼재배법3 장뢰삼 재배법 겨우내 움츠렸던 산삼들도 기지게를 켜기 시자한다.심은 깊은 산에 자생하는 천종이나 지종외 산새들에 의해 씨가 옮겨져큰 나무 아래나 옹달샘 주위 등에 자라는 조삼, 그 씨를 받아 뿌린장뢰및 산양삼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마을 주변이나 골짜기 등에서 재배하는 삼들은 보통 장뢰나 산양삼이라부르며 지켜보는 재미는 그만이었으나 소득원보다는 고객 관리나덤으로 쓰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모두들 귀히 여기나 성장이 늦어 출하까지 십여년 이상이 걸리지만칠팔년에도 팔뚝많큼 굵어져 십여만원을 호가하는 산더덕등에 비해 일도많고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바람이 잘 통하고 습이 적당한 반그늘에 씨를 뿌리면 발아 되지만성장이 늦고 타 산약초들에 비해 가뭄이나 날씨 변화 등에민감한 것이 단점이었다.산더덕과 함께 발아 된 산양.. 2025. 5. 5. 장뢰삼을 재배해 보고 싶다면 산양삼 재배에 대한 질문들을 자주 받는다.기타의 산약초들과 같이 산속에 뿌려만 두면 되는 것으로들 생각하기 쉬우나산양삼에는 몇가지 문제들이 있었다.첫째는 성장이 늦다는 점이었다.상품성을 갖추기까지는 십여년 이상이 걸리며 한뿌리 1~2만원에 거래되나 십여년이면 팔뚝만큼 굵어지며 십수만 원을 호가하는 산더덕 등에 비해 경재성이 떨어졌다.둘째는 일이 끝이없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이었다. 풀속에 팽게쳐 둬도 알아서들 자라는 기타의 산약초들과는 달리 스스로 풀을 이겨내지 못해 일년에도 몇번씩 풀을 메줘야해 품값을 빼고나면남는게 없었다.또다른 하나는 들쥐 피해가 크다는 점이었다.일반인에게는 생소한 이야기지만 상품성을 갖추기 시작하면 근방일대의 들쥐들이 모여들어 뿌리를 갉아먹어 열에 하나 건지기도 힘들었다. .. 2025. 3. 18. 삼 자리 ~` 지난 봄 골짜기 깊속한 곳에서 다섯 뿌리의 산삼을 캣었다. 미안한 마음에 손주 삼 한 뿌리는 다시 심어 주었지만 굵은 할아부지 삼은 찾지 못했다. 오래전 화전민 이 심어둔 것인지 새가 씨를 물어 온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처음 캐보는 산삼이었으니 발견 당시의 짜릿 함이란 어떤 말로.. 2014. 4.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