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당귀씨앗판매8

야생종이 좋은 이유 사라져가는 종자 확보에 매진해 온지도 십수년이 흘렀다.토종은 생명력이 강해 농약 없이도 재배가 가능한 품종들 이지만토종이라해서 모두 좋은 것은 아니다.​수확량이 많다며 개량종만을 선호하다 보니 씨가 마른 실정으로남아있는 개채들 마져도 근친 교배가 반복되며그 형질들이 약해진 까닦이다.​우량종 하나를 얻기 위해서는 짧아도 십여년이 걸린다.다양한 지역의 개체들을 확보해야 하며 야성 복원 과정을 거쳐우수 개체만의 분리를 수회씩 반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싸고 좋은 것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종자에 따라 수확량도수배씩 차가나 소량이라도 우량한 품종들을구해 꾸준히 번식시켜 나가는 것이 확실한 방법이었다. 번식중인 야생종 두릅~십여년 전 양구 계곡에서 한 그루를 발견해 번식한 녀석들로 옆순이 발달해수확량이 많고 수확 기.. 2024. 12. 27.
산약초 농장을 만들고 싶다면 ~ 3, 나무를 베서는 않되는 이유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대부분에 사람들이 볕이 잘 들어야 작물 성장이 빠를 것으로들 생각하며 나무부터 베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자연 상태를 활용해야만 하는 이유들이 있었다.​첫째는 산사태 때문이었다.산이 경사가 심해도 늘 제모습을 유지하는것은 나무와 그 뿌리들이 그물 처럼 얽혀있기 때문이나 나무나 뿌리가 사라지면 장마시마다사태가 발생해 일이 끝이없었다. ​둘째는 표토층의 유실때문이다.산약초들의 양분이 되주는 부엽토및 유기물들은 대부분 표토층에 집중되 있으나 베내면 비가 올때마다 표토층이 유실되 비료 없이는아무것도 자라지 못했다.​또다른 하나는 풀과 잡목때문이다.자연림에 풀이 적은 것은 생태계가 안정된 때문이나 인위적으로 손을대 균형이 깨지면 풀과 잡목이 뒤덮어 일이년이면 산짐승도 다니지 못하는 불모.. 2024. 8. 18.
드디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는 산약초 날씨가 따스해 농장에 올라보니 봄이란 녀석이 소리없이 다가와 골짜기마다 남녁에 소식들을 전하니 산벗과 진달래에 두릅과 산더덕들도 얼굴들을 내밀며 미소로 화답한다. 기온외 낮이 길어져야만 모습들을 드러내는 잠꾸러기 도라지는 아직 감감 무소식이지만 성질급한 곰취며 산당귀들도 하나 둘씩 바윗틈에서 눈인사들이다. 지금은 골마다 발디딜 트이 없지만 등산을 다니다 만난 일행들과 약초 탐방을 다니다가 온산을 헤메느니 차라리 헐값의 골짜기 하나 마련해 씨를 뿌려둬보면 어떨지 싶어 시작한 것이 지금의 농장이다. 5백여평에 전답값도 안되는 돈이었지만 3만여평에 골짜기에 온갖 산약초들이 뒤덮고 있어 수십년을 캐내도 끝이없을 듯 싶으니 노후 준비로도 신만한 곳이 없는 것 같다. 숲가꾸기를 신청에 골짜기에 자생하는 참나무를 간.. 2024. 4. 7.
한겨울 산약초 겨울로 접어들자 동장군들이 몰려와 기승을 부려 대지만 땅속에 몸을 숨긴 산약초들은 아무일도 없다는 듯 저마다 단잠들이다. 칼바람까지 가세해 흔들어 보지만 나무들이 내어 준 낙엽 이불이 넉넉하니 걱정할 일이 없나보다. 산약초들에게 겨울은 보약과도 같은 계절이다. 겨울잠을 .. 2019. 12. 26.
산약초 재배와 장소 선택 요령 산약초 재배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소득이 쏠쏠 하면서도 바쁠 일이 없으며 아무리 수입산이 몰려와도 걱정할 일이 없는 청정 먹거리들 이기 때문 이지만 장소 선택시에는 몇가지 주의도 필요 하다. 첫째는 험하고 골이 많은 북향이 유리하다는 점이다... 2019. 12. 17.
하루가 다르게 자라는 곰취 드디어 제 2농장에 뿌렸던 곰취들도 싹이 나기 시작 한다. 봄 가뭄이 극심했던 지난 몇년과는 달리 비가 자주와 대부분의 산약초들이 발아가 양호하다. 맛과 향이 뛰어나 산나물의 제왕이라 불리기도 하는 곰취는 깊은 산에서나 볼 수 있지만 활착이 까다로울 뿐 어디서도 잘 자라 작물이.. 2018. 5. 4.
8월의 곰취 ~ ` 연일 불볕 더위가 계속 되지만 산등성이 곰취들은 벌써 꽃대들을 올리며 가을 준비가 한창이다. 맛과 향이 뛰어나 산나물에 제왕이라고도 불리는 곰취는 깊은 산 고지대에서나 자라는 것으로들 생각 하나 그늘이 적당하고 바람만 잘 통하는 곳이라면 어디서도 잘 자라는 토종 먹거리이.. 2016. 8. 19.
8 월의 산더덕 ~ ` 자연으로 돌아가려 골짜기를 산택하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산은 적은 투자로도 같은값 전답에 수배의 소득도 가능한 곳이기 때문 이지만 내가 산더덕을 주작물로 선택한 대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첫째는 적은 돈으로도 안정적 정착이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거친 골짜기에서도 잘 .. 2016.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