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작물 선택 요령8 적은 돈으로 정착 하고자 한다면 ~ 5 ` 자연으로 돌아가려 하나 예산이 부족해 고민하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적은 돈으로 귀농 하고자 한다면 원하는 지역의 묶밭을 임대해 수익이 높은 작물을 심어 정착 비용을 자체 해결할 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방법인 것 같다, 고소득 작물도 많으며 수익이 높은 신품종들은 모두 죽지 않.. 2017. 8. 28.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2 ` 작물 선택 요령 ~` 전답의1/10값에 불과하면서도 수배의 가치를 지닌 곳이 산이기도 하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의 작물 선택은 전답과는 또 다른 기준이 필요한 것 같다. 풀과 잡목이 욱어지고 돌이나 산짐승이 많으며 경사가 심해 가뭄에 대한 대비등 급복해야 할 난제들이 한두가지가 아.. 2017. 3. 9. 9월의 으뜸 도라지 ~ ` 늦더위가 끝나고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 하니 벌 나비의 잔치 마당이던 으뜸 도라지 밭에도 한해가 마무리 되 간다. 일이 적으면서도 수익이 높아 관심있는 귀농인들이 많은 것 같아 지난 2년간 논과 밭, 비탈등에 각각 시험 재배하며 느낀 바들을 정리해 본다. 평당 수익이 10여만원에 .. 2016. 9. 29. 나무를 베서는 않되는 이유 .. 산에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나무를 베야만 작물이 잘 자랄 것으로 생각 하나 이는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나무를 베내면 풀과 잡목이 뒤덮기 때문이다. 산이 논밭과는 달리 풀이 적은것은 생태계가 안정되 있기 때문이나 인위적으로 나무를 베 균형.. 2016. 6. 4. 임야를 선택 하고자 한다면 ~ 9 ` 임야는 전답에 비해 헐값임에도 고소득이 가능한 곳이지만 임야를 선택해 작물 재배를 하고자 한다면 몇가지 사항을 유의 해야 실패가 없다. 대부분에 임산물은 양지를 싫어해 볕이 강하면 발아가 어렵고 고사의 위험이 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볕이 강한 남이나 동향을 피해 북이나 서.. 2014. 10. 4. 좋은 표고 고르는 법 ~` 송이 능이와 함께 3대 버섯으러 불리는 표고는 영향이 높고 몸에 좋은 성분들을 다량 함유한 천연식품으로 대부분의 요리에 쓰이는 고급 식재료이다. 원목인 참나무의 질과 재배장의 습도, 온도에 의해 품질이 좌우 되지만 참나무가 무겁고 비싸며 넓은 공간이 필요해 대부분 톱밥에 영.. 2014. 9. 23. 골짜기에 능이들 ~` 가을로 접어드니 온 골자기가 먹거리 천지다. 첫 두릅이 20여일이나 빠랐고 싸리버섯들이 나오기 시작해 올라가 보니 벌써 손바닦 크기 이상 자란 능이들이 보인다. 능이는 1키로에 10만원도 넘는 고가에 버섯 이지만 언제나 그림에 떡이었다. 크기도 전에 사람들이 싹쓸이를 해 버리기 때.. 2014. 9. 6. 7 월의 산 더덕 ~ 7월로 접어드니 골짜기에 뿌려둔 더덕들이 덩쿨을 뻣으며 줄기 마다 꽃망울이 부풀어 오른다. 산더덕은 1키로에 10만원이 넘으며 없어서 못팔지만 내가 산더덕을 선택 한 것은 참으로 우스운 우연이었다. 자연으로 돌아 가겠다며 각시 몰래 오지의 골짜기를 덜컥 사 버렸으니 말도 못꺼내.. 2014. 7.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