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초 농장을 만들려 하는데 좀도독은 어찌 대처하느냐는 질문들을 자주
받는다. 철조망을 치기도 하나 이는 비용도 많이들고 환경 파괴의
문제도 남아 그리 권장할 방법이 아니었다.
가장 효율적인 것은 일시에 다량을 뿌려두는 방법이었다.
소량을 뿌려 어정쩡하면 외부인이 들어올 구실이 됬지만 다량을 뿌려
농장임이 확연토록 만들어 둬보니 경계 주변에서 한두뿌리 후다닥은
있어도 들어오는 사람은 없었다.
또다른 하나는 농장 경계를 따라 두릅이나 탱자씨를 던져두는 방법이었다.
철조망에 1/100도 들지 않았지만 왕가시가 있어 지키지 않아도
외부인을 물론 산짐승도 들어오지 못했다.


북한식 최첨단 울타리~ㅎㅎ
일시에 다량을 뿌려 둬 보니 수백만 원씩을 들여 철조망을
치지 않아도 경계를 따라 끈하나만 둘러둬도
들어오는 사람은 없었다.

저비용 친환경 울타리~`
산더덕과 도라지 씨를 뿌리며 농장 경계를 따라 두릅이나 탱자씨를
함께 던져 둬 보니 산더덕이 굵어질 즈음이 되자 가시 울타리가
완성되 지키지 않아도 넘어오지 못했으며 두릅이나
탱자에서 얻어지는 소득 또한 쏠쏠했다.

** 산약초들로 발디딜 틈이없는 골짜기 농장 ~`
5백여평 전답값으로 3만여평의 버려진 골짜기를 선택 했다니
모두들 웃었지만 산은 수백년 동안 농약 한방울 준적없는 청정지역으로 헐값의
골짜기에 씨만 뿌려둬도 알아서들 자라는 고소득 산약초들도
셀수없이 많아 노후 준비로도 산만한 곳이 없었다 **
* 기타 산짐승 피해가 없는 작물이나 임야 구입 지원금 신청 방법, 산림청
무료지원 작물, 탱자나무 울타리 만드는 법 등은 올려 둔
공지글 참조 하세요.
'꿈에농장 영농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샘 추위와 산약초 (0) | 2025.03.03 |
---|---|
판로가 없어 고민 이라면 (0) | 2025.03.01 |
천마 자생지 (0) | 2025.02.20 |
도라지 담금주 만드는 법 (1) | 2025.02.20 |
산짐승 땜에 걱정이라면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