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종산삼자생지3

무더기 산삼을 캐보고 싶다면 ~ 4` 산채꾼 치고 대왕 산삼이나 무더기 마당삼을 만나보고 싶지 않은 사람이없지만 산삼의 자생 조건이나 자연의 이치만 이해하고 나면이는 그다지 어려운 일만도 아니다. 산삼은 자생 조건이 까다롭지만 한자리에서 수십년씩 자라며 씨로 번식 되는산약초이기에 산삼이 발견됬던 곳이라면 십중팔구 그 주위에는이삼세들이 다시 나기 때문이다.  구광자리라 하여 자식에게까지 쉬쉬한다지만 산삼이 자라던 곳이나 캔 자리는어떤 식으로든 흔적이 남기 마련이어 이런 주위만 집중 탐사해도심을 보는 것은 누구에게나 가능한 일이다. 초보라면 6~7월을 집중 겨냥하는 것이 심봤다 할 확율이 가장 높다.평소에는 풀들에 가려져 있으나 이때는 열매인 딸이 붉어져멀리서도 잘 보이기 때문이다.깊은 산에 이런 나무가 있다면 십중팔구 주위에 심이 있다.누군가.. 2024. 7. 23.
무더기 산삼을 캐보고 싶다면 ~ 3 6~7월은 초보들도 심봤다 하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딸이 익으며 붉은색이 선명해 멀리서도 잘 보이기 때문이지만 심은 무작정온산을 헤멘다하여 캘수있는 것은 아니다. 자생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이지만 사람 사는 곳이 산삼이 자라기에도적지라 보면 틀림이 없으며 깊은 산속에 대나무 밭이 있다면그 주의를 집중탐사하면 십중팔구 심이있다. 대밭은 옛날 약초꾼이나 화전민, 사냥군 등이 살던 흔적으로 이런 주위에는반드시 숨겨 가꾸던 약초밭이 있지만 그들이 떠나고 수십년에 걸쳐 씨가 퍼지고 굵어진 까닦이다.초여름은 풀숲에 숨어 자라는 산삼도 딸이 붉어지며멀리서도 잘보여 초보자들도 심을 보기에가장 손쉬운 계절이다.대부분 그냥 지나치지만 깊은 산중 대밭은 가까이에 무더기 심이 있다는 징표와도 같다. 대나무는 가볍고 신축성이 .. 2024. 7. 5.
무더기 산삼을 캐보고 싶다면 ~2` 산을 좋아 하거나 약초 산행을 다니는 사람치고 무더기 마당삼을 한번쯤만나보고 싶은 열망을 갖지 않은 사람이 없지만 이는의욕만 가지고 되는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초보들로써는 불가능한 꿈만도 아니다.모두들 자신만의 노하우 인냥 쉬쉬 하지만 심은 자생하는 곳이 따로 있으며산의 생리를 알고 집중 탐사 한다면 그리 어려운 일만도 아니기 때문이다. 산에 다녀보면 유난히 굵은 나무나 머위가 군락을 이뤄 자라는 곳들이혹간 보인다. 대부분 무심코 지나가지만 이런곳은 심외다양한 산약초들의 보고이기도 하다. 머위가 있는곳은 화전민이나 약초꾼들이 살던 곳으로 그들의 집터 주변에는반드시 어린 삼이나 씨 등을 뿌려 둔 장소가 있지만 사람이떠난 체 수십년 방치된 곳이기 때문이다.요 이쁜 놈들 ~~ ㅋㅋ6~7월은 딸이 붉어져 가장.. 2024.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