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나무 농장9

두릅 뿌리 심는 법 ~` 두릅은 거친 골짜기 풀 속에서도 잘 자라고 농약이나 비료등이 필요 없으며 번식력이 뛰어나 몇미터에 하나씩만 심어둬도 몇년이면 단지를 이루며 한번 심어 두면 수십년에 걸쳐 수확 할수있는 청정 먹거리이다. 번식 방법으로는 씨앗 파종과 묘목 이식외 뿌리 근삽법이 있다. 씨앗은 흐.. 2014. 10. 18.
임야에 농장을 만들 때는 ~` 임야를 활용해 정착 하고자 할때는 작물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임야는 전답과는 달라 면적이 넓고 경사등이 심해 묘목 값이나 인건비, 수확시까지의 관리 비용등이 수천만원씩 발생하기 때문이다. 두릅은 뿌리를 심어도 거친 골짜기 풀속에서도 잘 자라 묘목값이나 인건비등이 타.. 2014. 10. 18.
늦 여름 골짜기 농장의 두릅 ~` 지난 봄 뿌리를 잘라 심어 둔 두릅들이 힘차게 싹대를 올리며 한 그루 나무의 형태를 갗춰가기 시작 한다.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청정 먹거리인 두릅은 악산의 풀속에서도 잘 자라며 번식력이 뛰어나 한번 심어만 두면 수 십년에 걸쳐 수확이 가능한 작물이다. 다양한 모집단을 만들어 .. 2014. 8. 28.
음나무 뿌리심기 ~` 2월말 시작된 표고 종균 작업과 덕덕씨 뿌리는 작업을 마치고 나니 어느덧 4월 중순이 코 앞이다. 자연 그대로의 방식으로 골짜기에 맏겨 두려 하니 온 산을 수백번 오르내렸지만 마음은 상쾌하다. 생각보다 10여일이나 지체 됬으니 음나무 심는 시기가 촉박하다. 매년 느끼는 거지만 강원.. 2014. 4. 7.
닭먹이용 무우 저장~ 닭먹이로 사용하기 위해 지난 가을 심었던 무우가 제법 실하게 굵어 졌다. 같은날 심었으나 시기를 넘긴 때문인지 배추는 아직도 포기가 차지 않아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9월 중순 심었으나 강원도 산속의 기온을 고려해 내년 가을에는 배추는 보름정도 앞당겨 8월 말 심어 봐야 겠다. 얼.. 2013. 11. 17.
가을 두릅 뿌리 심기~ 지난봄 심지 못한 골짜기에 두릅을 심기 위해 몇 년전 심어뒀던 밭에서 종근을 채취 했다. 마대 자루로 20여개 정도니 손질하면 1만 오천 여개는 될것 같다. 두릅은 골짜기 음지에서도 잘 자란다. 봄에는 10여 센티로 짧게 잘라 심어도 문제가 없으나 가을에 심을때는 추위에 대비해 15센티 .. 2013. 10. 9.
가을 농장의 상수리 무더위가 끝나고 9월로 접어들자 농장 이곳저곳에 하루가 다르게 변화가 나타난다. 산초는 장아찌를 담을 만큼 굵어졌고 돌배와 다래는 술담기에 적당하다. 두릅나무의 검붉은 열매들은 산새들을 부르고 개암과 상수리도 경쟁을 하듯 하루가 다르게 굵어 진다. 8 월 말의 상수리 9 월 10 .. 2013. 9. 9.
두릅나무 열매 9월 초가 되니 두릅나무 열매가 익어간다. 볕이 강한 양짖녁에는 벌써 검은 색이 돌기 시작 한다. 두릅은 8월초가 되면 하얀 꽃이 피기 시작해 8월말이 되면 열매가 맺혀 흑자색이 돌며 9월이 되면 검게 익는다. 10월이 되면 씨가 떨어져 숙성되면서 과육이 썩고 다음해에 싹이 나지만 발아.. 2013. 9. 2.
두릅과 엄나무의 활착율 비교 봄에 두릅과 엄나무 1천그루씩을 똑같은 방식으로 심었다. 두릅은 70%가 살았지만 엄나무는 70%가 고사했다. 고사한 나무를 캐보니 절반정도는 뿌리는 살아 있다. 비가오고 난 후 다시 살펴보니 살아있 뿌리에서 싹이 트고 있다. 비온 후 싹이 트는걸로 보아 고사한 이유는 가뭄 때문인 것 .. 2013.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