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릅뿌리 심는 법10

산지 활용 최적 작물 두릅 버려진 골짜기를 활용해 두릅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소득이 쏠쏠하면서도 일체의 관리가 필요 없기 때문 이지만 농장을 만들때는 야생종을 택해야만 하는 이유들이 있다. 첫째는 병해 때문이다. 수확량이 많다며 외래종이나<정강,자오, 신구등&gt.. 2020. 1. 18.
자투리 땅을 활용한 몫돈 마련 ~ 2` 자연으로 돌아 가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시골은 다 좋은데 돈이 안된 다고들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니며 자연이 주는 혜택들을 적적히 활용하면 특별한 투자 없이도 몫돈을 만들 길도 얼마든지 있었다. 탱자 나무 역시 그런 수종 중 하나였다. 진입로나 밭둑등 어디에서도 잘 자라고 성장도 빨라 심어만 두면 손댈 일이 없으며 팔뚝만한 한그루에도 수십만원을 호가 하지만 대부분에 사람들은 이런 사실들을 모르는 것 같다. 일체의 병해가 없으며 사철 푸른 가지와 하얀 꽃, 노란 열매등은 정원수로서의 모든 조건들을 두루 갖췄으며 어린시절 고향의 향수까지 서려있고 외래 수종들과는 비교할수 없이 정감도 있어 고급 주택등에 고가에 팔리기 때문이다. 가시가 있어 농장 경계등에 심어 두면 돈들여 철조망등을 치지 .. 2019. 11. 17.
두릅 농장 만드는 법 두릅 씨앗 채취 시기가 다되 간다. 두릅은 자연에만 의존 할 뿐 작물로 여기는 사람 조차 적지만 투자비가 적고 바쁠 일이 없으면서도 소득이 쏠쏠하고 판로 걱정이 없는등의 장점들을 두루 갖춘 몇 안되는 작물 중 하나이다. 생명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뛰어나 험한 골짜기 풀속에 팽게쳐.. 2019. 9. 21.
발아 된 두릅 비가 오고 나자 발아 된 두릅들이 얼굴을 내밀기 시작 한다. 여리고 약해 보이지만 극심했던 봄 가뭄을 이겨 낸 농장의 미래를 책임질 전사들이다. 두릅의 가장 큰 장점은 소득이 높으면서도 투자비가 적다는 점이다. 거친 골짜기나 험한 비탈등에서도 잘 자라며 번식력이 뛰어나 몇미터.. 2019. 5. 21.
귀농 유망 작물 - 두릅 작물은 귀농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 요소로 투자 대비 소득외 판로와 추후 전망 산짐승 피해는 없는지등 여러 요소들을 두루 살펴야 하지만 두릅만한 작물도 없는 것 같다. 두릅의 가장 큰 장점은 소득이 높으면서도 투자비가 적다는 점이다. 뿌리를 잘라 심거나 씨를 뿌려도 잘자라며 .. 2018. 11. 22.
두릅이 좋은 이유 두릅은 여러 장점들을 두루 갖춘 청정 먹거리 이지만 작물로 생각하기 보단 대부분 산채에 의존 중이어 가꿔만 두면 없어 못파는 전망 밝은 작물이다. 두릅의 가장 큰 장점은 일체의 관리가 필요 없다는 점이다. 생명력이 강해 병해가 없고 거친 골짜기 풀 속에서도 잘 자라며 이른 봄 순 .. 2018. 5. 10.
산약초 발아 순서 기온이 오르기 시작하자 지난 가을 뿌렸던 제 2 농장에도 혹독한 추위를 이겨낸 산약초들이 하나 둘씩 얼굴들을 내밀기 시작 한다. 한 번 뿌려 두면 그 씨가 퍼지며 어린 싹들이 뒤 따라 나니 늘 이맘때면 보게 되는 일들 이지만 언제 봐도 새롭고 신선하다. 봄을 알리는 생강 꽃이 피고 나.. 2018. 4. 20.
내가 두릅을 선택 했던 이유 산을 선택 했지만 작물을 정하지 못해 난감해 하는 이들이 있는 것 같다. 초기 같은 고민도 했었지만 내가 두릅을 선택한 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는 수익이 쏠쏠 하면서도 투자비가 적게 들기 때문이었다. 수만평의 산에 구덩이를 파고 물을 주며 묘목을 심으려면 수천만원을 .. 2018. 2. 8.
야생종 두릅, 음나무 뿌리, 씨앗 예약 안내 버려진 골짜기를 활용해 두릅 농장을 만들려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바쁠 일이 없으면서도 지속적 고소득이 가능 하기 때문 이지만 두릅 농장을 만들때는 종자 선택에 유의 해야 실패가 없다. 두릅이나 음나무는 자연 채취에만 의존할 뿐 작물로 여기는 사람조차 적으나 뿌리를 잘라 심어도 잘 자라 투자비가 적게 들면서도 소득 발생이 빠르고 거친 풀 속에서도 잘 자라 심어만 두면 비용들 일이 없는 고소득 작물이다. 가장 좋은 것은 농장에 거주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타 작물과는 달리 봄 몇일 수확만 마치면 일체의 관리가 필요 없고 훔쳐갈 것도 없어 따로이 할일이 없기 때문이다. 번식력이 뛰어나 2~3 미터에 한둘씩만 심어 둬도 몇년이면 밭을 이루며 농약등이 필요 없어 자투리 땅 활용에도 그만.. 2018. 1. 27.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5 ` 수종 선택시 고려 사항 ~ ` 임야에 농장을 만들때는 다년생 약초나 산나물 외 수익성 유실수등도 함께 심는것이 토지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 이지만 수종 선택시에는 고려할 점들이 한두가지가 아니었다. 가장 유의해야 할 부분은 자신의 투자 여력이었다. 산은 건조하고 척박해 소득 발생.. 2017.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