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산약초2

산약초 농장 만드는 법 버려둔 임야를 활용해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소득이 쏠쏠하면서도 한번만 뿌려둬도 수십 년에 걸쳐 수확하기 때문이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 때는 몇 가지 주의도 필요하다. 모두들 선생 노릇이지만 산은 경사로 인해 늘 건조하고 그늘도 많아 성장이 늦고 활착율도 떨어져 한번 뿌려 모두를 살릴 수는 없는 곳이며 산짐승들도 많아 그늘에서도 잘 자라며 산짐승 피해가 없는 작물들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볕이 잘 들어야 성장이 빠를 것으로 들 생각하며 벌목부터 하는 사람도 있으나 나무를 베면 사태가 발생하고 장마 시 유기질을 함유한 표토층이 유실돼 비료 없이는 아무것도 자라지 못하며 자연림에 풀이 적은 것은 생태계가 안정된 때문이나 인위적으로 손을 대 균형이 깨지면 1년도.. 2022. 4. 7.
적은 돈으로 귀농 하는 법 ~ 2 `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지만 예산이 부족해 포기하는 분들이 많으나 의지만 있다면 돈들이지 않고도 수만 평의 농장을 만들 방법들도 얼마든지 있다. 참나무가 밀생 된 임야를 매입해 참나무를 처분하는 외 국유지에 붙어있는 작은 땅을 사는 것도 방법이다. 인접 토지의 이해 관계인이 신청하면 국유지 역시 수십년 임대가 가능하며 추후 돈을 모아 불하받아도 그만이니 내 땅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지자체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텃밭이 딸린 농가 주택도 무상 임대가 가능하다. 경매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었다. 대부분에 시골 임야는 공시지가에 근거해 경매에 붙여져 한두번 유찰되고 나면 시세의 1/10 까지도 떨어진다. 10%의 입찰 보증금만 가지면 경매 받을 수 있고 잔금은 그 땅을 담보로 대출 처리 후 참나무 등을 .. 2022.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