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야활용이렇게7

산더덕 요리법 골짜기에 터를 마련하니 무엇보다 바쁠일이 없어 좋다.농사는 늘 눈코 뜰새 없다고들 하지만 산약초들은 생명력이 강해 씨만 뿌려 둬도 알아서들 자라기 때문이다.​수확 시기에 쫓길일이 없는 것 또한 큰 강점이었다.때를 놓치면 폐기 처분하기 싶상인 기타의 작물들과는 달리 산더덕 등은굵어질수록 맛과 향이 더해지며 값이 뛰는 까닥이다.​삽한 자루면 그만일 뿐 농약이나 농기계도 필요없으며 혼자서 수천평도 관리해도 베짱이가 따로 없으니 산을 선택한 것은 다시 생각해 봐도 참 잘한 일 같다. 한겨울 골짜기 농장~강원도 겨울 골짜기는 3월까지도 눈천지 꼼짝마라 이지만 내 고럴줄 알고 미리들 캐뒀지 ~~ㅎㅎ 자투리 밭둑 등에서도 잘 자라 ~`농기계도 필요없고 삽한자루면 그만이며 한베낭에도 백여만원이 넘으며 토굴속에 넣어두면.. 2025. 1. 8.
산약초 농장을 만들고 싶다면 - 10 수확 방법 산약초들은 투자비가 적으면서도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하고시간이 지날수록 소득도 증가해 노후 준비로도 제격인 작물들 이지만작물 선택에는 몇가지 유의도 필요했다. 첫째는 수확 가간이 긴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요령이었다.산은 경사로 인해 능율이 떨어지며 농촌 인구의 감소로 사람 구하기도쉽지 않아 수확 시기가 촉박한 작물들은 낭패보기싶상이었다. 둘째는 출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는 작물을 선택하는 방법이었다.산더덕이나 도라지 등과 같이 굵어질수록 값이 뛰는 작물들이 있으며이런 작물들을 선택해야 바쁠일 없이도 지속적고소득이 가능했다.  또다른 하나는 수확한 많큼 현물로 지급하는 방법이었다.매번 챙기려니 죽을맛 이었지만 각자 수확량의 절반을 나누기로 방법을바꿔보니 시키지 않아도 새벽부터 나와 일한 후앞다퉈 택배 포.. 2024. 12. 19.
농촌의 미래 임야에 있어 베이비 부머 세대들의 퇴직 시기가 겹치며 자연으로 돌아가려는이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대부분이 사람들은 값비싼 전답만을 고집 하지만5백여평의 전답으론 생활비 해결도 빡빡하다.​좁은 면적에서 흑자를 내기 위해서는 각종 시설에 하우스 등 수천만원의투자가 필요하며 기계며 농기구들에 또다시 수백의가외돈들이 소요된다. 임야는 전답의 1/10 값에도 못미치지만 골짜기에서 가꿀수 있는 청정 먹거리는셀 수 없이 많으며 풀속에서도 잘 자라는 산약초 씨를 뿌려자연에 맞긴다면 농약이나 농기계도 필요 없으며삽 한자루면 그만이다. 씨를 뿌려도 1년이면 수확이 시작되는 산약초들은 얼마든지 있다.시간이 지날수록 소득이 증가하며 소비자의 선택 또한청정 먹거리로 옮겨가고 있으니 노후 준비로도산만한 곳이 없는 것 같다.5백여평 전답값.. 2024. 10. 25.
팔뚝 굵기를 넘어선 산더덕 늘 추석이 다가오면 종균을 뿌려 둔 곳마다 바글로 나오던  능이들이가뭄에 콩나듯이니 눈 빠져라 이때만을 기다리는 지인들에게미안해 산더덕 몇뿌리 캐 본다. 온 골짜기를 뒤덮기 시작한지도 10여년이 넘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굵어지고값도 뛰니 늘 지켜만 볼 뿐 캘 일이 없었지만 생태도 살필 겸이곳저곳에서 몇자루를 캐봤다. 풀과 잡목들을 이겨내지 못해 시간이 지날수록 고사하거나 그대로인개량종들과는 달리 야생종들은 골짜기마다 향을 진동하며팔뚝 굵기를 넘어선다. 이곳 저곳에서 채종해 종묘장에서 교배 후 뿌린 개체들일수록 굵고 실한것을 보니 자연 상태에 굵은 개체들이 적은 것은 무분별한 체취로개체수가 줄어 반복되는 근친 교배 때문같다.수전 전 고군산도 채종길에 몇뿌리 발견해 번식중인 홍더덕이다.개체수가 줄며 깊은 산.. 2024. 9. 17.
임야 활용 이렇게 ~` 골짜기에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것 같다.임야는 수 백년 동안 농약 한방울 준적없는 청정 지역이면서도 헐값에 불과 하지만활용 여하에 따라 같은값 전답의 수십배 소득도가능한 곳이기 때문같다. 대부분에 사람들은 산을 사 밭을 만들려 하지만 이는 부득한 경우를제외하고는 신중을 기해야 할 일이다.산은 벌목을 하는 순간 임야의 강점은 사라지고 토사 유출이 시작되며생태계가 파괴되면 순식간에 풀과 잡목들이 뒤덮는다. 자연을 지배하려 하는것은 위험한 발상이다.인간의 힘으로 천지조화를 감당할 수는 없는 노릇으로 유실수 등을 심어수확하기까지는 수년에 걸쳐 풀베기를 해야 하나산은 경사로 인해 평지의 수십배 비용이 발생 한다. 사람이 아닌 작물 입장에서 생각하며 풀속에서도 잘 자라는 토종을 선택해자연에 맞겨 둬야 .. 2024. 6. 26.
두릅 수확 두릅 수확이 끝나간다.버려진 골짜기를 선택 한다니 모두들 웃었지만 씨만 뿌려둬도 이리들자라니 농약을 치거나 풀멜 일이없어 좋다. 늘 느끼는 거지만 시골은 바쁘기만 할 뿐 돈이 안된다고들 하나 반시 그런것만도 아니었으며 작물 선택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 중하나 또한 일의 많고 적음이었다. 땡볕 아래에서 한철에도 몇번씩 풀을 메고 농약을 치기란 숙련된 농부들에게도죽을 맛이니 귀농인들로서는 도시로 다시 돌아가고 싶다는 말들이절로 나와도 이상할것이 없는 일이다.  욕심을 버리는 것 역시 마찮가지였다.마을 사람들과 수확물의 일부를 나눠 보니 죽도록 고생했던 초기와는 달리수만평임에도 바쁠일이 없으니 안정적 정착은 마음 먹기에달린 일이 아닌지 싶다 버려진 골짜기를 선택한다니 모두들 웃었지만 씨만 뿌려 ( 늦가.. 2024. 5. 7.
임야에 농장을 만들려 한다면 ~ 4, 수확 방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