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야를 활용한 노후준비4 산약초 재배법 - 장소 선택 요령 산약초 재배 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발품 파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산약초들은 생명력이 강해 대부분의 곳에서 잘 자라지만 고품질을 생산하기에 유리한 곳도 있었다. 가장 적지는 큰 산 줄기에 자리한 중턱의 북향 골짜기였다. 산은 경사로 인해 늘 건조한 곳이이어 볕이 강하면 가뭄영향이 크며 골이 깊을수록 산이슬이 풍부하고 밤낯의 기온차도 커 성장도 빠르고 고품질로 자라기기 때문이다. 중턱이 좋은 이유 또한 마찬가지이다. 어디든 한가지이나 산 아래는 풀이 많으며 위쪽은 기온차가 커 성장이 늦지만 중턱은 풀 관리가 필요없으며 자연에 맞겨 둬도 알아서들 자라 바쁠 일이없고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고품질들이 나오기 때문이다. 대부분에 사람들은 평탄한 남향만을 찾아 발품들을 팔지만 이런곳은 묘자리로나 적당할 뿐 남보.. 2022. 7. 3.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 한다면 ~ 5` 골짜기를 선택 하려는 귀농인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적은 투자로도 고소득이 가능한 청정 지역이기 때문 이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막연한 접근 보다는 구체적 계획이 필요한 일 같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빠른 성장을 바라는 조급한 마음에 나무부터 베고 보지만 이는 각별한 주.. 2017. 7. 19. 5월 초 산더덕 ~` 5월로 접어드니 산덕덕들이 발아되기 시작 한다. 산은 그늘이 많으니 밭에 비해 성장이 늦지만 양짖녘으론 줄기를 뻣으며 풀들을 제압하기 시작하는 개체들도 보인다. 더덕은 사삼이라고도 불리는 고급 식재료로 자연산이 고갈되며 밭에서 재배 하기도 하나 향이 좋은 고품질을 얻기 위.. 2017. 5. 15.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3 ` 장소 선택 요령 ~` 바쁠일이 없으면서도 고수익이 가능한 곳이 임야라고들 하지만 산에 각종 산약초들을 재배해 보니 생각치 못했던 문제들도 한두가지가 아니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완만한 곳만을 찾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기에는 골이 많은 산이 적지인 것 같다. 작물이 자라기 위해.. 2017. 3.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