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짐승피해없는작물4

귀농 작물 선택 요령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11. 9.
산약초 농장 조성시 유의사항 버려둔 임야를 활용해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골짜기는 수백 년 동안 농약 한 방울 준 적 없는 청정 지역으로 전망이 밝으면서도 바쁠 일 없이도 고소득이 가능하며 한 번만 뿌려둬도 수십 년에 걸쳐 수확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지만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몇 가지 유의도 필요했다. 첫째는 산짐승이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백만원씩을 들여 철조망 등을 치지만 골짜기는 야생동물들에게는 안방과도 같은 곳이어 지키려 해서는 끝이 없으며 산짐승들이 좋아하지 않는 작물을 선택해야 낭패 보지 않는다. 둘째는 풀과 잡목이었다. 산은 경사가 심해 모든 비용이 배로드는 곳이다. 아무리 전망이 밝아도 스스로 풀을 이겨내지 못하는 작물은 일이 끝이 없으며 생명력이 강한 야생종을 택해야 바쁠일 없이도 .. 2022. 11. 7.
일없이 고소득이 가능한 작물들도 많아 시골은 죽도록 일해도 돈이 안 된다고들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닌 것 같다. 초기 고민도 많았고 해결책을 찾기까지 수년이 걸리기도 했었지만 놀면서도 고소득이 가능한 방법들도 얼마든지 있었다. 도시에서는 일을 해야만 소득이 발생 하지만 시골은 도시와는 전혀 다른곳 이었으며 조금만 생각을 달리하면 일하지 않고 목돈을 만드는 것도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니었다. 흐르는 시간이나 자투리땅들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었다. 탱자나무는 전원주택 담장이나 자투리 밭둑 등에 뿌려두면 보기에도 좋고 친환경 울타리로도 그만이지만 팔뚝만한 한그루에도 수십만 원을 호가해 십여 년만 지나면 울타리만 캐 팔아도 땅값을 회수하고도 남는 수종이었다. 두릅 역시 마찬가지였다. 가시가 있어 농장 경계 등에 심어두면 수백만 원씩을 들여 .. 2022. 10. 12.
고소득 산약초 - 산당귀 버려 둔 골짜기를 활용해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 하나 어떤 작물이 좋은지를 알지 못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작물 선택시엔 몇가지를 고려해야 낭패보지 않는다.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산짐승이다. 골짜기는 산짐승들에게는 안방과도 같은 곳이다. 수백 만원씩을 들여 철조망들을 치지만 지키려 해서는 끝이 없으며 아무리 전망이 밝아도 산짐승이 좋아하는 작물은 피하는게 상책이었다. 둘째는 풀이다. 골짜기는 거친 잡목이나 풀들이 많지만 경사로 인해 모든 비용이 배로들어 아무리 고가에 거래되도 스스로 풀을 이겨내지 못하는 작물은 일만 끝이없을 뿐 심어봐야 헛고생이었다. 그늘도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이다. 볓이 잘 들어야 작물 성장이 빠를 것으로들 생각해 벌목부터 하는 사람도 있으나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 풀과 잡목.. 2022.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