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약초수확요령2 산약초 농장을 만들고 싶다면 - 10 수확 방법 산약초들은 투자비가 적으면서도 한번 뿌려두면 수십년 수확하고시간이 지날수록 소득도 증가해 노후 준비로도 제격인 작물들 이지만작물 선택에는 몇가지 유의도 필요했다. 첫째는 수확 가간이 긴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요령이었다.산은 경사로 인해 능율이 떨어지며 농촌 인구의 감소로 사람 구하기도쉽지 않아 수확 시기가 촉박한 작물들은 낭패보기싶상이었다. 둘째는 출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는 작물을 선택하는 방법이었다.산더덕이나 도라지 등과 같이 굵어질수록 값이 뛰는 작물들이 있으며이런 작물들을 선택해야 바쁠일 없이도 지속적고소득이 가능했다. 또다른 하나는 수확한 많큼 현물로 지급하는 방법이었다.매번 챙기려니 죽을맛 이었지만 각자 수확량의 절반을 나누기로 방법을바꿔보니 시키지 않아도 새벽부터 나와 일한 후앞다퉈 택배 포.. 2024. 12. 19. 귀농 귀촌을 준비 중 이라면 ~ 3 ` 5백여 평에 전답값으로 버려진 3만 여평의 골짜기를 선택한다니 그 넓은 곳을 어찌 다 수확할 거냐고들 웃어대니 잠못이루던 날들도 많았으나 그렇다고 방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었다. 초기 새벽부터 나가 감독도 해보고 몇만 원씩을 더 줘도 봤으나 흉내들만 낼뿐 별 무신통이더니 마음을 비운 후 각기 수확물의 절반씩을 주기로 방법을 바꿔보니 요거이 요술 방망이가 따로없었다. 인근의 산들을 하루종일 오르내리며 산약초들을 채취해 생활들을 하지만 농장에 오면 힘들일 없이도 소득이 두세배가 되니 서로들 앞다퉈 나오기 때문이었다. 그렇다고 속쓰려 하거나 아까워 할 일만도 아니었다. 어차피 수확하지 못하면 썩어 버릴 수밖에 없는것을 주민들 덕에 절반을 건진다 생각하면 고맙기 그지없는 일이기 때문이었다. 밭을 이룬 두릅~`.. 2024. 3.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