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야초 씨앗판매6

청출 어람 언론 중재 위원회로부터 연락이 왔다. 얼마 전 한 프로에서 생사람을 잡으며 파렴치한을 만들어 대더니 정정 보도및 손해 배상이 이루어질 모양이다. 간이라도 빼줄 양 1년여를 쥐구멍 드나들 듯 힐끔거리더니 원조 타령을 해대는 x의 작당임을 짐작은 했으나 입증 자료까지 재시했음에.. 2019. 1. 18.
직거래처 확보 방법 귀농인들이 가장 난감해 하는 것이 판로인 것 같다. 아무리 잘 가꿔도 팔수 없다면 생활고를 면할 길이 없기 때문 이지만 판로 개척은 방법만 알면 어려운 일은 아니다. 가장 손쉬운 것은 블로그등을 통해 나눔하는 방법이었다. 귀농 첫해는 거래처가 없으니 팔지 못하는 농산물들이 부지.. 2018. 12. 17.
귀농 작물 선택 요령 산약초 재배에 치중해 온지도 십 수년이 다 되 간다. 시도해 본 사람조차 없던 시절이었으니 시행착오도 많았지만 요지같던 산더덕들이 팔뚝만큼 굵어졌음을 보노라면 흘러간 시간들을 실감 하기도 한다. 애써 가꿔봐도 찾는 사람들이 없던 시절이었으니 웃을만도 했지만 내가 추구한 .. 2018. 11. 27.
농촌의 미래 .. 다람쥐 채바퀴 돌듯 하던 회색 도시를 뒤로하고 자연으로 돌아 온지도 어느덧 수년이 흘렀다. 적은 돈으로 정착 하려니 고민도 많았으나 버려진 골짜기를 선택해 산약초 재배로 눈을 돌린 것은 다시 생각해 봐도 잘한 일 같다. 작물 선택으로 고심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토종으로 눈들을 .. 2018. 11. 1.
원조가 뭐길래 .. 산약초 재배에 전념해 온지도 어느덧 십수년이 다되 간다. 시도해 본 사람조차 없으니 숫한 시행착오들을 거치기도 했지만 살다보니 여러 일들을 격게 된다. 도시 촌놈의 철없는 짓이라 웃음거리가 됬던 초기와는 달리 가을마다 감사의 선물들을 보내 오는 이들도 있고 하루에도 수명씩 .. 2018. 10. 26.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 한다면 임야에 농장을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투자비가 적고 바쁠 일 없이도 고소득이 가능하기 때문 이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작물 선택에 유의 해야 낭패 보지 않는다. 취미와 소득을 위한 농장 경영은 여러면에서 다르다. 아무리 전망이 밝아도 산짐승 피해가 없어야 하.. 2018.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