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덕씨앗채취방법2

산더덕 씨앗 채취 시기와 방법 무분별한 채취로 개체수가 줄었지만 산더덕은 생명력이 강해잡목더미나 자투리 밭둑, 풀숲 등 어디에서도 잘 자라고 농약 등도 필요없으며혼자서 수천평을 관리해도 바쁠 일이없는전망밝은 작물이다. 맛과 향이 뛰어나면서도 약성까지 월등한 청정 먹거리로 건강을 먼저 생각하는소비자들의 흐름과도 일치할 뿐 아니라 씨까지 고가에거래된다는 것 또한 큰 강점이었다. 씨앗 채취는 씨방이 노랗게 변한 10월 초 ~ 중순이 적기이며 꼬투리만 채취해볕에 10여일 말려 털면 그만이지만 여러곳에서 채취하는 것이근친 교배를 방지하는 요령이었다.10월 초~ 중순 씨방이 노랗게 변해 벌어지기 직전이 적기이며 잎에 검은 반점들이 있는것들은 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있어피하는게 상책이었다. 건조기를 쓰면 빠르고 간편하지만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어햇.. 2024. 10. 8.
산더덕 씨앗 채취 시기와 방법 산더덕 씨앗 채취 시기가 다되 간다. 이틀이 멀다 가을비가 내려 농장에 올라가기 조차 힘들었던 지난해와는 달리 날씨가 청명해 큰 어려움은 없을 듯싶으나 수정이 이루어질 시기에 고르지 못했던 일기 때문인지 대부분에 씨들이 흉작이다. 여물며 날아가 버리는 곰취 등과는 달리 더덕은 까다로운 작물은 아니나 야산에도 흔하던 예전과는 달리 무분별한 채취로 개체수가 줄어 깊은 산에나 가야만 보이는 것이 어려움이다. 또 다른 하나는 근친 교배이다. 개량종 등과는 달리 야생 산더덕은 맛과 향이 뛰어나고 병충해에도 강하지만 개체수가 줄어 근친 교배가 반복된 개체들은 강인함이 사라져 실하게 굵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농장을 만들기 위해 씨앗을 채취할 때는 종자에 따라 수확량이 수배씩 차가 나 소량이라도 뿌리가 곧고 실한 개.. 2023.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