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씨앗판매9 야생종이 좋은 이유 사라져가는 종자 확보에 매진해 온지도 십수년이 흘렀다.토종은 생명력이 강해 농약 없이도 재배가 가능한 품종들 이지만토종이라해서 모두 좋은 것은 아니다.수확량이 많다며 개량종만을 선호하다 보니 씨가 마른 실정으로남아있는 개채들 마져도 근친 교배가 반복되며그 형질들이 약해진 까닦이다.우량종 하나를 얻기 위해서는 짧아도 십여년이 걸린다.다양한 지역의 개체들을 확보해야 하며 야성 복원 과정을 거쳐우수 개체만의 분리를 수회씩 반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싸고 좋은 것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종자에 따라 수확량도수배씩 차가나 소량이라도 우량한 품종들을구해 꾸준히 번식시켜 나가는 것이 확실한 방법이었다. 번식중인 야생종 두릅~십여년 전 양구 계곡에서 한 그루를 발견해 번식한 녀석들로 옆순이 발달해수확량이 많고 수확 기.. 2024. 12. 27. 산약초 농장을 만들고 싶다면 ~ 3, 나무를 베서는 않되는 이유 산약초 농장을 만들려는 대부분에 사람들이 볕이 잘 들어야 작물 성장이 빠를 것으로들 생각하며 나무부터 베지만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자연 상태를 활용해야만 하는 이유들이 있었다.첫째는 산사태 때문이었다.산이 경사가 심해도 늘 제모습을 유지하는것은 나무와 그 뿌리들이 그물 처럼 얽혀있기 때문이나 나무나 뿌리가 사라지면 장마시마다사태가 발생해 일이 끝이없었다. 둘째는 표토층의 유실때문이다.산약초들의 양분이 되주는 부엽토및 유기물들은 대부분 표토층에 집중되 있으나 베내면 비가 올때마다 표토층이 유실되 비료 없이는아무것도 자라지 못했다.또다른 하나는 풀과 잡목때문이다.자연림에 풀이 적은 것은 생태계가 안정된 때문이나 인위적으로 손을대 균형이 깨지면 풀과 잡목이 뒤덮어 일이년이면 산짐승도 다니지 못하는 불모.. 2024. 8. 18. 산당귀 전망과 재배법 당귀는 고급 쌈채나 차 등으로 인기가 많은 잎과 줄기외 피를 맑게하며면역력 증진및 항산화 효과가 탁월해 뿌리까지 약재로 쓰여버릴것이 없는 산약초이다. 기타의 작물과는 달리 같은 면적에서도 몇배의 소득이 가능한 것도이런 까닦이며 청정 먹거리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하루가 다르게늘고 있어 전망 또한 밝다. 특히 야생 산당귀는 피부 탄력증진과 잔주름을 줄여 주는 효능이 뛰어나여성의 약재라 불리기도 하지만 자궁 수축 기능이 강해임산부 등은 복용을 금하는게 좋다. 농약이 필요없고 풀속에서도 잘 자라 산지 활용에도 그만이지만그늘을 좋아하는 대부분의 산약초들과는 달리 볕이 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밭에서 재배도 가능했다.거친 바위틈에서도 잘 자라 ~`당귀는 전국 어디서도 잘 자라지만 물을 좋아해 물빠짐이불량한 밭이나 버려.. 2024. 6. 8. 7월의 산당귀 7월로 접어들자 골짜기 당귀들도 꽃대들이 올라오기 시작 한다. 당귀는 맺힌 어혈을 풀어 주고 피를 맑게 하며 산후조리나 부인병에 탁월한 효능을 보여 대부분의 한약에 빠지지 않는 약재 중 하나이다. . 수효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 중국산으로 대체 되고 있는 실정이나 향이 좋아 뿌리외 잎도 고급 쌈채로 쓰여 가꿔만 두면 버릴것이 없는 다년생 작물이다. 웰빙 시대로 접어들며 쌈채 수효가 폭증하고 있지만 자연산이 고갈 되 하우스에서 재배 하기도 하나 향이 좋은 고품질을 얻기에는 그늘과 바람이 적당한 산이 적지였다. 성장이 빨라 씨를 뿌려도 1년이면 수확이 시작 되며 물을 좋아해 골짜기나 버려진 물골 활용에 최적인 작물로 풀속에서도 잘 자라고 번식력도 뛰어나 한번 뿌려 두면 수십년에 걸쳐 수확할 수 있는 전.. 2019. 7. 16. 청출 어람 언론 중재 위원회로부터 연락이 왔다. 얼마 전 한 프로에서 생사람을 잡으며 파렴치한을 만들어 대더니 정정 보도및 손해 배상이 이루어질 모양이다. 간이라도 빼줄 양 1년여를 쥐구멍 드나들 듯 힐끔거리더니 원조 타령을 해대는 x의 작당임을 짐작은 했으나 입증 자료까지 재시했음에.. 2019. 1. 18. 사는게 뭔지 .. 몇일째 바람도 쐬 보지만 마음 다스리기가 쉽지 않다. 처음 여는 길에 누군가의 희생은 필연 이라고들 하지만 악플들이 아프고 쓰리다. 목소리 큰 사람들이 대장인 세상이 되 버렸지만 시행착오는 늘 있기 마련이라 응원 하는 이들도 셀수없이 많다니 무엇이 옳은지 혼란 스럽기만 하다.... 2018. 12. 5. 토종과 종자 산약초 재배에 매진해 온지도 십수년이 흘렀다. 산을 가꾸기 위해서는 거친 잡목이나 풀들을 이겨 낼 수 있는 생명력이 강한 종자들이 필요 하지만 토종이라 해서 모두 좋은 것은 아니다. 토종은 끝없이 농약을 치고 비료를 줘야만 하는 개량종등과는 비교할수 없는 강인한 개체들 이지.. 2018. 11. 16. 산약초 농장 만들기 ~ 11 ` 표고목 만들기 ~` 산약초 농장을 만들때는 씨 뿌리기와 함께 표고목을 만들어 두면 여러가지 잊점들이 많다. 골짜기에 자생하는 참나무를 활용 하면 별도 투자 없이도 안정적 소득원이 되 주기 때문이다. 표고는 늦가을 참나무를 잘라 겨울 동안 말린 후 종균을 넣어 두면 4~5년에 걸쳐 나.. 2018. 1. 9. 임야에 농장 만들기 ~ 26 ` 좀도독 방지법 ~` 산에 농장을 만들고자 하나 좀도독에 대한 해법을 찾지 못해 고민하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온 골짜기를 지킬수도 없는 노릇으로 2~3년이 지나니 한톨도 남아있지 않더라며 하소연을 하기도 한다. 초기 같은 문제로 고민 하기도 했지만 좀도독 문제는 소문 처럼 그리 신.. 2017. 3.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