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에 귀농 도전기

산약초 농장 만들기 ~ 7 `

by 농장 지기 2017. 12. 19.

파종 방법 ~`


버려진 골짜기를 선택해 산약초를 가꾸려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산약초 파종에는 여러 방법들이 있지만 그간 체험 하며

느낀 바들을 정리해 본다.


산에 농장을 만들때는 중턱부터 시작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대부분에 사람들이 초입부터 뿌려 올라 가기 시작 하나

저지대는 풀이 많아 고사율이 높고

높으면 밤낮의 기온차가 커 성장이 늦었다.


둘째는 무작위로 흩 뿌리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이다.

산은 전답과는 달리 몇미터 사이에도 토질이나 습등이 모두 달라

이곳 저곳 나누려 하기보단 모두 섞어 뿌려 자연에 맞겨 두며

굵어지는 대로 수확하는 것이 일이 쉽고

비용도 적게 들었다.


셌째 일시에 다량을 뿌려야 낭패 보지 않는다.

산은 경사가 심하고 가뭄 영향이 커 고사율도 높으며

외부인이 드나 들어도 보이지 않는 곳이다.


소량을 뿌려 가꾸려 해서는 일만 끝이 없고 

외부인이 드나들어도 지킬수도 방치할 수도 없는 난관에 빠져

일시에 다량을 뿌려 단시간에 손익 분기점을 넘어 설

구상을 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또 다른 하나는 낙엽을 헤치고 뿌리 되 덮지 않는 것이 좋다는 점이다.

건조한 산에서도 작물이 자라는 것은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납엽등이 있기 때문이다.

뿌려만 둬도 비바람에 적당히 덮혀 힘들여 덮거나

걷어내지 않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같은 값 전답에 수십배 가치를 지닌 곳이 산이라고들 하지만

수많은 사람이  실패한 곳임도 유념해야 하며

사람의 편리보단 작물 입장에서 생각해야

낭패보지 않는다.


* 팁 하나 : 능선에서 살리는 법~`

건조한 능선에서는 풀옆에 뿌려야 활착율이 높고 성장도 빠르다.

저지대에서는 풀이 작물의 성장을 방해 하지만 

건조한 곳에선 풀이 이슬을 잡아 주고 땅속 물을 빨아 올려  

습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토종 씨앗 필요하신 분들은 각방에 올려 둔 글들을 참조 바라며

 기타 작물 선택시 유의 사항이나 직거래처 확보 방법,적은돈으로 농장 만드는 법등은

(cafe.daum.net/beyondorganic ) 에 정리해 뒀습니다.

'나에 귀농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약초 농장 만들기 ~ 9 `  (0) 2017.12.27
산약초 농장 만들기 ~ 8 `  (0) 2017.12.23
산약초 농장 만들기 ~ 6 `  (0) 2017.12.14
산약초 농장 만들기 ~ 5  (0) 2017.12.12
산약초 농장 만들기 ~ 4 `  (0) 201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