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에 귀농 도전기

산약초 농장 만들기 ~ 4 `

by 농장 지기 2017. 12. 10.

작물 선택 시 유의 사항 ~`


산에 농장을 만들 때는 작물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골짜기는 전답과는 비교할 수 없는 부가가치를 지닌 곳이지만
경사가 심하고 잡목 등이 많은 단점도 함께 지닌 곳이어 
심고 뽑기를 반복하는 작물은 피하는 게 상책이었다.

둘째는 수확 기간이 긴 작물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이다.
농촌 인구의 감소로 수확 기간이 촉박한 작물은
일손 구하기가 쉽지 않고 비용이 배로 들어
고생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셋째, 유통 기한이 긴 작물을 선택해야 낭패 보지 않는다.
초보 농부는 직거래처가 없어 건조나, 장아찌등
유사시 보관이 가능한 작물을 선택해야
폐기 처분을 방지할 수 있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산짐승이 좋아하지 않는 작물을 심어야 실패가 없다.
산짐승 피해는 상상 이상으로 지키는 것만이 다가 아니며
이를 소홀히 하면 아무리 노력해도 헛고생이었다.

풀 속에서도 잘 자라며 산짐승 피해가 없으면서도
한번 심어 두면 수십 년 수확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소득 또한 증가하는 작물들이 있다.
이런 작물을 선택해야 바쁠 일 없이도
고소득이 가능했다.


그간 번식해 온 야생 두릅 ~`

두릅은 뿌리를 심어도 잘 자라 투자비가 적으면서도 2~3년이면 수확이 시작 되며

가꿔만 두면 없어 못파는 작물이다.

번식력이 뛰어나 몇미터에 하나 씩만 심어둬도 주위로 퍼지니

그간 번식해 둔 뿌리를 잘라 온 골짜기에 

밭을 만들 생각이다.


주 작물 산더덕 ~`

산더덕은 풀속에서도 잘 자라 바쁠 일이 없고  굵어질수록 값이 뛰며

출하시기에 쫓길 일이 없으면서도 한번 뿌려 두면 수십년 수확할 수 있으니

두릅 아래엔 번식해 둔 산더덕 씨를 뿌릴 계획이다.


귀농 후 안정까지는 수년이 걸린다고들 하지만 반드시 그런것 만도 아니었다.

곰취와 산당귀는 산짐승 피해가 없고 씨를 뿌려도

1년이면 수확이 시작 되는 작물들이다.

산더덕과 섞어 뿌려 수확까지 수년이 걸리는 더덕의 단점을 보완 하며

소득 발생 시기를 앞당기려 한다.


*토종 씨앗 필요하신 분들은 각방에 올려 둔 글들을 참조 바라며

 기타 작물 선택시 유의 사항이나 직거래처 확보 방법,적은돈으로 농장 만드는 법등은

(cafe.daum.net/beyondorganic ) 에 정리해 뒀습니다.


'나에 귀농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약초 농장 만들기 ~ 6 `  (0) 2017.12.14
산약초 농장 만들기 ~ 5  (0) 2017.12.12
산약초 농장 만들기 ~ 3 `  (0) 2017.12.06
산약초 농장 만들기 ~ 2  (0) 2017.12.04
제 2농장 구상을 마치며 ~1 `  (0) 2017.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