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곰취파종시기6

출하 시기를 미리 알고 싶다면 영농에 있어 작물 출하 시기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간을 다투는 생물들 이기에 때를 놓치면 품질이 저하되 힘들여 가꾸고도 제 값을 받지 못하거나 폐기 처분 해야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늘 일정하던 예전과는 달리 시도때도 없이 이상 기후 등이 몰려오니 수확 시기 역시 들쑥날쑥으로 출하를 예측할 수가 없지만 자세히 지켜보니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한 것만도 아니었다. 농장 주변의 들풀들은 아무 쓰임새가 없어 보이지만 모두 겨울 한파를 견뎌 낸 전사들로 이들을 눈여겨 봐 두니 작물 출하 시기를 정확하게 알수 있었다. 사람만 모를 뿐 들풀들은 제트기류나 엘리뇨 등이 기승을 부릴 것을 미리 알고 스스로 싹트는 시기 등을 조절했으며 인간이 만든 어떤 첨단 장비보다 정확했다. 봄의 전령사 생강 꽃 ~ 농.. 2023. 5. 16.
씨앗에 숨겨진 비밀 ..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4. 13.
아직도 그대로니 ..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21.
곰취농장 만드는 법 곰취 재배에 대해 관심 있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거친 골짜기나 과수원 등 어디에서도 잘 자라 투자비가 적으면서도 소득 또한 쏠쏠하기 때문 같다. 곰취의 가장 큰 장점은 수확기간이 길다는 점이다. 봄 몇일 수확에 그치는 기타의 산나물류와는 달리 이른 봄 수확을 시작하면 7월까지도 계속돼 같은 면적에서도 몇 배의 소득이 가능한 청정 먹거리이다. 둘째는 판로 걱정이 없다는 점이다. 산나물의 제왕이라 불릴만큼 맛과 향이 뛰어나 고급 쌈채로 수효가 많아 전량 예약 판매되는 실정이지만 장아찌로도 그만이며 말려 두면 언제든 묵나물로도 별미여 재고 걱정이 없기 때문이다. 바쁠 일이 없다는 것 또한 큰 강점이다. 그늘을 좋아해 과수나무 아래나 풀속 등에서도 잘 자라며 매년 심고 뽑기를 반복해야하는 무나 배추 등과는.. 2021. 4. 14.
임야 활용 유망 작물 3 - 곰취 버려진 임야를 활용해 산약초를 재배 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다. 곰취는 깊은 산에서나 자라는 것으로들 생각하나 무분별한 채취로 개체수가 줄었을 뿐 어디서도 잘 자라는 작물이다. 곰취의 가장 큰 장점은 수확 기간이 길다는 점이다. 봄 한철 수확하는 기타의 산약초들과는 .. 2020. 3. 3.
한겨울 산약초 겨울로 접어들자 동장군들이 몰려와 기승을 부려 대지만 땅속에 몸을 숨긴 산약초들은 아무일도 없다는 듯 저마다 단잠들이다. 칼바람까지 가세해 흔들어 보지만 나무들이 내어 준 낙엽 이불이 넉넉하니 걱정할 일이 없나보다. 산약초들에게 겨울은 보약과도 같은 계절이다. 겨울잠을 .. 2019. 12. 26.